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본 연극의 의미있는 한국 나들이 ‘대학로, 테스트 마켓 될 수 있어…한국 관객도 최고’
“한국의 대학로는 웨스트엔드, 브로드웨이 같은 느낌이 듭니다. 도쿄에 소극장과 중극장 7-8군데가 몰려있는 ‘시모키타’라는 곳이 있긴 하지만 한국의 대학로처럼 100개 이상의 극장이 밀집돼 있는 곳은 일본에서도 찾아볼 수 없죠”

최근 대학로 동덕여대 예술센터에서 셰익스피어의 원작 ‘한여름 밤의 꿈’과 ‘십이야’를 연극 무대에 올린 일본 극단 ‘스튜디오 라이프’ 가와우치 대표의 말이다.

한국 공연을 계획한지 3년만에 내한공연을 가진 스튜디오 라이프 극단 배우들은 공연이 끝난 후 무대 뒤에서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특히 한국 관객들의 솔직한 반응, 즉각적인 리액션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십이야’에서 바이올라 역을 맡은 마츠모토 신야는 “한국 관객의 반응을 통해 ‘아! 맞아 이 장면은 이런 것이었지’ 하고 다시 느낄 만큼 작품에 더 집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 공연에서는 막이 오르기도 전에 관객들이 박수와 환호를 보내주셔서 정말 놀랐다. 일본에서조차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일이었다”고 덧붙였다.


물론 이런 감동 뒤에는 녹록지 않았던 과정이 있었다. 스튜디오 라이프의 이번 내한 공연은 ‘Japan Foundation’의 지원을 일부 받기는 했지만 대부분 극단측이 자비를 들여 준비했고 때문에 극단 입장에서는 부담이 컸다. 가와우치 대표는 “이번 작품들은 대사량이 상당히 많은데 자막에 모두 담을 수 없어 일부는 줄여야만 했고 유명 일러스트레이터인 우노 아키라가 제작에 참여한 무대세트를 화물 수송 하는 것도 어려운 점이었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튜디오 라이프 극단측은 이번 내한 공연을 통해 얻은 점이 더 많다면서 지속적으로 한국에서 공연 무대를 갖고 더 나아가 대학로에서 장기공연으로 이어가고 싶다고 밝혔다.

가와우치 대표는 “우리의 연극이 런던의 웨스트엔드, 뉴욕의 브로드웨이, 한국의 대학로 등 연극관객이 집중된 곳에서도 과연 통할까 시험해보고 싶었는데 한국 연극 무대는 해외 진출의 테스트마켓으로 삼을 만큼 의미있다”고 말했다. 또 한국 연극계의 매력에 대해서 “인구 대비 공연 관람객이 많은 것 같다”면서 일본이나 한국이나 연극이 다른 공연장르에 비해 열악한 것은 마찬가지지만 한국 연극계가 더 활성화 된 느낌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 같은 일본 연극의 한국 나들이에 대해 동덕여대 공연예술대학 김춘경 교수는 “일본 연극이 한국 시장에서 관객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기 위해서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느낄 수 있는 보편적 감정을 작품에 녹여내는 것이 주효하다”고 의견을 밝혔다. 이어 “스튜디오 라이프의 이번 무대도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일본식으로 해석했다기 보다는 연출가가 여성의 심리를 작품에 잘 녹였기 때문에 관객들이 공감할 수 있었고 기대 이상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한편, 스튜디오 라이프는 남성극단이다. 모든 배우가 남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성의 역할은 남자 배우가 여장을 해 소화한다는 점이 이색적이다. 공연을 관람한 안경희(29)씨는 “우리나라에는 남성극단이 없는 걸로 아는데 색다른 느낌으로 작품을 봤다”면서 새로운 콘셉트의 공연을 접할 수 있는 기회였다고 소감을 전했다.



<황유진 기자@hyjsound> 
/hyjgo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