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스타인벡이 본 미국의 허상
퓰리처상 수상작가이자 노벨상 수상작가인 존 스타인벡의 ‘아메리카와 아메리카인’(김영사)이 소설가이자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는 안정효 씨 해제와 번역으로 나왔다.

동명영화 ‘분노의 포도’로 잘 알려진 존 스타인벡의 소설들은 비교적 국내에 여러 권 소개됐지만 문명비평서 격인 이 책은 오랜만이다. 1970년대 출간됐다 절판된 뒤 40년 만에 이번에 새롭게 나왔다.

당시 삼조사에서 출판된 ‘아메리카와 아메리카인’ 역시 안정효 씨가 번역한 것으로, 두 개의 버전이 생긴 셈이다. 스타인벡에 대한 안 씨의 애정은 각별하다. 1990년경엔 스타인벡의 족적을 찾아 캘리포니아의 살리나스 일대를 답사하기도 했다.

특히 안 씨는 스타인벡의 삶과 작품, 궤적을 따라 스타인벡을 새롭게 재조명한 두툼한 해제를 붙여 스타인벡에 대한 이해를 한 차원 끌어올려 준다. 스타인벡을 ‘시골작가’로 평가하며 그의 소설들을 ‘생명소설’로 지칭한다든지, 스타인벡 문학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친구, 동지, 백성, 동포라는 뜻의 paisano를 ‘촌놈’으로 번역한 것 등은 새롭다.

안 씨는 해제에서 스타인벡이 드러내고자 한 게 아메리카합중국의 강렬한 힘과 폭발력이 남기는 후유증, 그리고 내면의 병적인 현상이란 점을 강조한다.

“40년 전 처음 이 책을 접했던 당시에는 이것이 미국의 정체를 파악하는 교본처럼 여겨졌었는데, 지금 다시 읽어보니 우리의 현재를 미리 각성시키는 거울”처럼 읽힌다고 밝혔다.

이윤미 기자/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