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금융당국에 고(告)함, 한국형 헤지펀드 잘 하려면
일반 투자자들은 별 관심이 없겠지만, 금융투자 업계에 한국형 헤지펀드 출범이 임박한 듯 싶다. 자본시장법 개정안 통과가 불투명하지만, 금융당국의 의지가 워낙 강하다보니 업계에서도 서둘러 상품출시로 화답하려는 분위기다. 그런데 아무래도 뭔가 불안하다. 처음부터 다 잘되리라 여겨지지는 않지만, 행여나 첫 단추를 잘못 꿰 자칫 헤지펀드의 씨앗이 썩어버리지나 않을 지 걱정이다. 헤지펀드 산업은 글로벌 사업이다. 해외사례와 동향을 잘 살피면 오늘의 우리 위치를 좀 더 잘 알 수 있다.

헤지펀드 전문조사기관인 유레카헤지(Eurekahedge)는 최근 아시아헤지펀드에 대한 특별보고서를 내놨다.

가장 눈에 띄는 건 헤지펀드의 인프라인 프라임브로커리지(Prime Brokerage) 시장의 글로벌 투자은행(IB) 과점 현상이다. 미국의 ‘빅4’ 점유율 65.49%, 유럽 ‘빅4’의 점유율 28.77%로, 합하면 94.26%다. 과연 이 틈바구니에서 우리나라 증권사들이 설 자리가 있을까?

그래도 규모가 적지 않은 한국시장이 기반이 될까 싶지만, 그렇지만도 않다. 2007년 8월과 2011년 8월의 아시아헤지펀드의 투자지역을 살펴봤다. 가장 컸던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비중은 24.8%에서 20.2%로 줄었고, 중화권과 글로벌 비중은 각각 10%에서 15.9%, 11.9%에서 18.9%로 급증했다. 단일국(한국, 대만, 인도, 호주/뉴질랜드)에만 투자하는 비중은 8%에서 4.6%로 급감했다. 국내 증권사의 헤지펀드 사업영역이 국내를 벗어나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투자전략을 보면 더욱 걱정된다. 한국형 1호 헤지펀드가 유력할 롱/쇼트 전략은 점차 인기를 잃고 다양한 새로운 전략들이 부상중이다. 아시아헤지펀드에서 2007년 57.2%를 차지하던 롱/쇼트 전략은 올 8월 39.6%로 급속히 위축됐다. 상황활용(event driven)이 5.9%에서 13.6%로, 선물추종(CTA)이 4.7%에서 11.3%로, 복합전략이 12.1%에서 13.8%로, 고정수익(fixed income)이 2.5%에서 5%로 늘어났다. 게다가 최근 공매도에 대한 글로벌 규제도 강화되는 흐름이다.

그럼 한국형 헤지펀드 어떻게 해야할까?

탄탄한 제조업 기반을 가진만큼 국내 기업들과 연계된 금융서비스는 글로벌IB와 차별화할 만한 부분이다. 자본시장법 개정안 국회 통과가 급하다. 아울러 최근 거래상대방위험(cunterparty risk) 때문에 프라임브로커를 두 군데 이상 쓰는 헤지펀드가 많다. 국내 증권사들과 글로벌 IB와의 제휴와 연계도 장려해야 한다.

헤지펀드의 투자지역 확대에 대처하려면 국내 증권사들의 해외진출을 지원해야한다. 반도체, 자동차, 철강, 조선을 정책적으로 지원했듯이 같은 이에 버금가는도움이 필요하다. 특히 중국 등 아시아지역 진출이 중요하다. 국내ㆍ외 간 부(富)의 적절한 배분을 위해 해외투자 관련 규제완화가 절실하다.

투자전략 다양화를 위해서는 투자자산별 규제완화가 중요하다. 기관이나 고액자산가 등 고급 투자자를 대한으로 한 헤지펀드에 투자자 보호의 잣대를 엄격히적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시장원리, 적자생존 원칙이면 족하다. 헤지펀드의 핵심가치는 자율과 창의다. 예전 벤처정신과 닮았다. 최대한 자유롭게 해주는 게 본연의 장점을 살리는 길이다.

<@TrueMoneystory>/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