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배교자도 순교자도 결국 시대의 희생자”
‘남한산성’ 이후 4년만에 ‘흑산’으로 돌아온 소설가 김훈
목숨 위협받는 선택의 순간

조선 천주교인들의 삶 통해

민초들의 생생한 목소리 담아



“정약전은 배교하고 현실의 삶으로 돌아온 사람입니다. 죽을 때까지 섬에서 물고기를 들여다보다 죽었습니다. 한 권의 책도 없고 어떤 문자도, 언어를 교환할 사람도 없는 곳에서의 답답함과 기막힌 슬픔을 그렸습니다. 군데군데 그런 게 배여있을 겁니다.” 

한 자 한 자, 그 말이 있어야 할 자리에 꽂고야 마는 치열하고 정확한 글쓰기의 작가 김훈(63ㆍ사진)이 역사소설 ‘흑산’(학고재)을 펴내며 20일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새 역사소설은 ‘남한산성’을 펴낸 지 4년 만이다.

소설은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서양문물과 함께 유입된 천주학이 조선사회의 전통과 충돌하며 빚어낸 역사의 큰 격절의 시기, 정약전ㆍ황사영 등 천주학 지식인의 내면풍경, 학정과 성리학적 신분질서의 부당함에 눈떠가는 백성의 움직임을 생생하게 그려낸다.

방 앞까지 차 들어온 큰 물속에서 이들이 어떤 포즈를 보여주느냐가 김훈이 들여다보려는 지점이다.

“소설에는 많은 순교자가 나오고 배교자가 나옵니다. 정약용은 적극적ㆍ능동적으로 배교했죠. 배교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천주교 신자를 밀고했고, 그 대가로 목숨을 부지해 많은 학문적 업적을 남겨 후세에 추앙받는 인물이 된거죠. 배교해서 살아남은 이도 있고, 배교했지만 먼저 맞은 매 때문에 살아남지 못한 사람도 있습니다.”

소설은 정약전이 흑산도로 유배를 떠나는 뱃길에서 시작한다. 약전은 막막한 흑산 바다 앞에서 “여기서 살자, 고등어와 더불어…섬에서 살자”한다. 함께 천주교리를 공부하며 세상 너머를 엿보았지만 끝내 제 길을 간 약종, 돌아서 다시 세상 속으로 간 약용과도 다르다.

그런가 하면 조카사위인 황사영은 새 세상의 소식을 전하는 투사로서의 삶을 산다. 사학의 거흉으로 지목된 후 체포망이 좁혀오자 제천 배론 마을의 토굴로 피신하지만 북경교회에 전할 편지가 발각되면서 능지처참을 당한다. 황사영은 16세에 장원급제해 정조가 친히 등용을 약조할 만큼 앞길이 창창했던 인물이다.

소설은 주인공이라 불릴 만한 인물을 꼭 집어낼 수 없다. 중인, 하급 관원, 마부, 어부 노비 등 각계각층의 인물은 제 목소리를 내며 저마다의 상황을 증언한다. 거기에 판단은 없다.

김훈은“ 절두산 절벽을 보면서 작품을 구상했어요. 자유, 사랑의 세계를 증거하기 위해 목숨 바친 순교자를 생각하게 됐고, 그들이 어떻게 죽음의 자리로 나아가게 됐는지 고민했죠.” 라며 새 작품을 구상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김훈은 “수많은 죽음이 다 대등하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작가는 소설을 다 쓰고 나니 하나의 이미지가 떠올랐다고 한다. 다윈의 새와 정약전의 물고기가 겹쳐졌다. 생명은 자신을 변화시키지 않고선 생명을 보존할 수 없다는 자연의 거대하고 장엄한 흐름을 잡아낸 다윈과 흑산도 물고기의 비늘을 세며 조용한 관찰자로 남은 약전의 차이와 그 너머다.

김훈은 “수억만년의 시공을 건너온 자연의 거대하고 장엄한 생명현상 끝에서 자유와 사랑, 이상, 목표가 만나는 걸 그려보고 싶었는데 조금밖에는 그려내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미지는 김훈의 그림으로 탄생했다. 그가 만들어낸 하늘을 나는 괴수의 이름은 ‘가고가리’. 대해를 건너가는 새, 배, 물고기 그리고 대륙을 오가는 말을 한 마리의 생명체로 형상화한 것이다. 그는 다윈의 시조새 화석사진을 보면서 10분 만에 그렸다고 했다. “진화의 수억만년 시공을 건너서 또 가고 가는 모습이죠.” 이 그림은 책 표지로 쓰였다.

이윤미 기자/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