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험 선제대응·금융사각지대 해소 포석
저축銀 이어 수술대 오른 신협·새마을금고
자산 상당부분 대출에 편중

부실우려·구조조정 도마에






신협과 새마을금고가 수술대에 오른 것은 ‘위험신호’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의 한 고위당국자는 5일 “덩치가 커지면서 많이 빗나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신협과 새마을금고는 조합원 출자로 운영되는 상호금융회사로서, 조합원을 상대로 영업하는 것이 옳지만 마치 은행 처럼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영업하면서 위험을 키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협은 전국에 957개 점포, 새마을 금고는 3207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는 상호금융회사이다. 점포수가 점증한 데다 2009년부터 비과세 예금한도가 3000만원으로 확대된 뒤 예금잔액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몸집이 불어났다. 8월 말 현재 자산규모는 신협이 48조8000억원, 새마을금고가 91조1000억원으로 웬만한 대형 금융회사 수준에 이른다.

문제는 이들 상호금융회사가 불어난 자산의 상당 부분을 일반 가계대출을 늘리는 데 사용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9년 이후 신협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60%, 새마을금고는 68%에 달한다. 8월 말 현재 대출잔액도 신협이 30조원, 새마을금고가 50조원을 웃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상호금융회사는 부동산 담보대출을 총부채상환비율(DTI)이나 담보인정비율(LTV)을 지키지 않고 대출을 해줬다가 감사원 지적을 받기도 했다.

한 당국자는 “마땅히 자산을 운용할 대상이 없었다고는 하지만 자산운용 방식이 가계대출에 지나칠 정도로 편중돼 있어 가계신용 대란이 발생할 경우 부실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신협은 지난 2002년 부실로 인해 2000억원의 공적자금을 수혈받은 전력이 있고, 2005년에는 구조조정이 단행되기도 했다”고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신협과 새마을금고의 부실채권 비율(고정이하 여신비율)은 현재 3%대 후반으로 은행의 배 이상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국이 최근 이들을 주목하는 또 다른 이유는 정부가 지난 6월 말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한 뒤 은행들이 가계대출을 억제하면서 이들의 가계대출이 다시 급증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당국은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올들어서는 가계대출 증가율이 전년 대비 둔화됐지만 7,8월 들어 다시 가팔라지는 양상을 보였다”며 “이를 중점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윤재섭 기자/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