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결함에 멈춰선 軍장비 국산화…흑표전차 등 전력화 차질
국방위 국감 의원들 방사청 질타


전시작전권 환수와 디지털 강군 육성을 위해 우리 군이 추진 중인 군 장비의 국산화가 지지부진해 전력화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26일 정의화 국회 부의장(한나라당)에 따르면 2418억원이 투입된 K-2 전차(흑표전차)의 경우 2005~10년 엔진과 변속기 부분의 개발을 완료하고 2011년부터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었다. 그러나 개발기간을 5년으로 한정하고 무리하게 국산화 일정을 추진하는 등 면밀한 사업관리가 부족해 개발이 지연되면서 지금까지 전력화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진삼 자유선진당 의원도 “K-2 전차는 파워팩의 냉각기능 불량으로 엔진이 과열되는 문제가 발생했다”며 “2003년 흑표전차 파워팩을 해외구매하는 데서 국내 개발로 변경했는데, 실제 우리가 1500마력의 세계 최고 엔진을 개발한 경험이 없고, 독일이 파워팩 개발에 13년이 걸린 점을 감안할 때 개발기간을 5년으로 한정한 것 자체가 섣부른 판단”이라고 지적했다.

연구개발비로 305억원이 들어간 K1A1 전차의 경우 지난해 감사원 감사에서 변속기 내구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고, 한국기계연구원도 근본적인 설계가 잘못됐다고 결론내렸다.

아울러 K-21 장갑차 사업(연구개발비 905억원)은 2009~10년 도하 중 침수사고가 발생하는가 하면, K-9 자주포(연구개발비 865억원)의 경우 방향조작이 되지 않는 사고가 발생했다.

189억원의 연구개발비가 들어간 K-11 복합소총 사업도 마찬가지다. 화기 부분과 사격통제장치에 결함이 발견돼 지난해와 올해 물량이 납품되지 않고 있다.

조동석 기자/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