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민노당, 참여당과 통합안 부결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의 통합이 25일 무산됐다.

민노당은 이날 오후 성북구민회관에서 대의원대회를 개최한 결과, 참여당을 통합의 대상으로 추인하는 안건에 대해 참석 대의원 787명 중 의결 요건인 3분의 2(525명)에 못미치는 510명만이 찬성해 15명 차이로 안건이 부결됐다.

민노당 관계자는 “당의 결정에 따라 참여당과의 통합은 사실상 끝났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결정에 따라 그동안 민노당, 진보신당, 참여당 등 3개 정당이 진행해온 진보소통합 작업은 표류하게 됐다.

진보신당이 지난 4일 당대회에서 민노당과의 통합안을 부결한 데 이어 민노당마저 참여당과 통합을 부결시킴에 따라 진보소통합은 물건너갔기 때문이다.

민노당은 진보소통합에 찬성하는 각종 정당과 단체가 참여하는 ‘새로운 통합진보정당 추진위원회(새통추)’를 통해 통합 논의를 계속한다는 계획이지만 핵심인 진보신당과 참여당이 불참함에 따라 통합의 동력이 현저히 떨어진 상태다.

다만 진보신당에서 탈당한 노회찬 심상정 전 상임고문이 통합세력을 규합해 새통추 논의에 참여할 가능성은 있지만 꺼져가는 진보소통합의 불씨를 살리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적지 않다.

민노당 이정희 대표가 당내 일부 세력의 반대를 무릅쓰고 참여당과 통합을 추진한 것에 대한 책임론에 휩싸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권영길, 강기갑, 천영세 전 민노당 대표들은 지난 21일 참여당과 통합에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진보소통합이 무산됨에 따라 민주당이 주장해온 야권 대통합론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민주당이 통합이 아닌 연대의 대상”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에서 진보소통합 무산이 대통합 논의의 진전으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반론도 만만찮다.

참여당 이백만 대변인은 이날 민노당 결정에 대해 “무척 안타깝지만 민노당의 결정을 존중한다”며 “참여당은 정당개혁과 정치혁신, 2012년 의회권력 교체와 정권교체를 위해 해야할 일을 계속 모색할 것”이라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