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물가·수출급감…실물경제 ‘먹구름’
글로벌 재정위기의 발발로 한국경제를 둘러싼 대내외 환경들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800조 가계부채’와 ‘5%대 소비자물가’는 어려운 한국경제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우울한 단어들이다. 하지만 9월 말~10월 초에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전 세계적인 경기부양과 마찬가지로 G20 국가들의 정책 공조 움직임도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급격한 침체를 보이고 있는 세계경제에도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5%대 소비자 물가 향방은=“물가가 복지다”라는 말처럼 물가는 실제 국민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올 하반기에도 정부 목표치(성장률 4.5%, 물가 4% 수준)를 지키기가 만만치 않다.

특히 8월 소비자물가에서도 유가와 신선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인플레이션율이 이미 4%에 진입해 위기감을 더하고 있다. 또 하반기 서울시 버스ㆍ지하철 요금을 비롯한 공공요금 인상이 기다리고 있는 등 물가인상요인이 산재해 있다.

8월 전기요금은 정부의 전기요금 조정에 따라 지난해 같은달보다 2.0% 올랐다. 시내버스료는 7월에 작년 동월 대비 5.4% 상승한 데 이어 8월에도 5.6% 올라 5%대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전체 공공서비스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7월 1.5%로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한 데 이어 8월에도 1.4%를 나타냈다.

올해 쌀 생산량이 10년 이래 가장 적은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올해 쌀 생산량이 지난해 429만5000t보다 1.2~4.0% 감소한 412만4000∼424만4000t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올 들어 이어진 쌀값 강세에 정부가 2010년산 쌀 비축분을 모두 방출했기 때문에 쌀값이 오름세를 보일 경우 예상보다 그 폭이 더 클 수 있다.

▶기름값 제발 좀 떨어지길=기름값도 하반기에는 하향기조로 돌아설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이유는 두 가지다. 선진국의 경기 침체와 리비아 사태의 조기 종식 등의 영향으로 원유 공급이 과잉될 것이라는 전망이 배경이다.

씨티그룹은 올해 원유 가격 전망을 배럴당 109달러에서 106달러로 하향 조정했고, BNP파리바도 내년 미국 유가를 10달러 내린 107달러로 전망했다. 배럴당 100달러를 넘는 고유가는 계속되지만 상승세가 한풀 꺾이는 것이다.

우선 글로벌 재정위기로 전 세계 경기가 침체될 것이라는 전망 속에 석유 수요도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아울러 카다피 정권이 무너지면서 리비아사태가 조기 종식됐다는 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리비아 석유 생산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재개되면 국제유가는 하락 압력을 더 크게 받을 것”이라며 “하지만 리비아 정국이 안정되지 못하고 석유 생산 재개도 미뤄지면 국제유가가 오히려 오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수출도 ‘빨간불’=선진국 경기둔화의 영향이 점차 두드러지면서 가장 우려되는 것은 역시 수출이다. 지난 7월 무역수지 흑자 규모가 7월 72억달러에서 8월 8억달러로 급감, 글로벌 재정위기의 여파가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전조가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연초부터 꺾어지기 시작한 미국ㆍ유럽 경제의 영향이 우리수출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올해 초부터 2분기 연속 낮은 경제성장률을 보이며 침체의 모습을 보이던 미국 경제 위기가 대(對)미국 수출 증가율 하락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주력 수출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2010년 수출 비중 24%)과 아세안(수출비중 11.4%) 등이 아직 건재하고 있어 향후 글로벌 재정위기의 영향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지경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대중국ㆍ아세안 수출은 올 들어서도 수출이 계속 급증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향후 글로벌 재정위기가 미치는 영향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지웅ㆍ홍승완 기자/goa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