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원자력硏 노영창 박사팀 당뇨성 궤양 치료법 개발
천연 꿀의 항염 특성과 방사선 기술을 접목, 당뇨성 궤양을 비롯한 피부 궤양을 빠른 시간 내에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정연호)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는 노영창 박사 팀이 방사선 기술을 이용, 꿀이 갖는 세균 억제 능력 및 항염 특성과 천연 고분자 하이드로겔의 상처 치료 특성을 융합해 피부 궤양 치료용 하이드로겔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노 박사 팀은 천연 상태의 꿀을 수용성 고분자와 혼합해서 얇은 시트 형태로 만든 뒤 방사선의 일종인 감마선을 조사했다.

이를 통해 수분을 함유한 겔 형태로 만든 뒤 수분 증발을 억제해 보습 능력을 증가시키고 꿀의 세균 억제 능력과 항염 특성이 환부에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패치를 만들었다. 이는 사용방법에 따라 패치 및 페이스트 형태로 만들 수 있다고 노 박사는 설명했다.

꿀은 산성으로 다른 인공적인 항생제와 달리 부작용이 없는 천연 항염 물질로, 당뇨성 궤양을 비롯한 피부 궤양에 효능이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으나 하이드로겔 형태로 적용된 것은 처음이다.

이번에 개발한 하이드로겔의 효능을 당뇨성 궤양을 인위적으로 유발시킨 쥐의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치료 10일 후 90% 이상의 피부 및 세포 재생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금까지 당뇨성 궤양은 드레싱이나 항생제 투약 외에 별다른 치료법이 없어 조기에 치료하지 못하면 하지 절단까지 이를 수 있고, 감염을 막기 위해 오랜 기간 항생제를 전신에 투여하는 과정에서 항생제 내성이 생기는 문제점이 제기돼 왔다.

반면 개발된 하이드로겔을 이용해서 당뇨성 궤양을 조기 치료하면 하지 절단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피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천연 꿀을 사용하므로 국소항생제나 경구항생제 같은 항생제 처방에 따른 항생제 부작용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노영창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공업환경연구부장은 “개발된 피부 궤양 치료용 하이드로겔 제조 기술을 국내 제약회사에 이전하고 당뇨 환자들에게 적용하기 위한 임상 실험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내의 당뇨성 족부 궤양 환자는 약 160만여 명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그 중 연간 750여 명이 궤양 악화로 하지를 절단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정태일 기자@ndisbegin>

killpass@heraldcorp.com

▶당뇨성 궤양= 당뇨의 합병증으로 인해 모세혈관이 약화되거나 막혀서 혈액이 제대로 순환되지 않아 궤양이 발생해 세포가 괴사되는 질병으로, 신체 부위 중에서도 혈액 순환이 잘 안 되고 상처가 생기기 쉬운 발(족부)에 주로 발병하고, 심한 경우 하지를 절단해야 한다.

▶하이드로겔(hydrogel)= 고분자 물질을 물에 섞어 수용액으로 만든 다음 방사선을 쪼임으로써 적정한 점도와 강도를 가진 겔(gel) 타입으로 만든 것을 말함. 제조 공정이 간편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 과정에서 멸균을 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이 기술을 이용, 상처 치료용 겔형 붕대, 장기 유착 방지용 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패치 등을 개발한 바 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