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구제역 백신 … 빠르면 내년부터 국내생산
이르면 내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구제역 백신이 생산될 전망이다.

농림수산식품부 산하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는 26일 구제역 백신 국내 생산 및 공급을 위해 외국 제조사로부터 항원을 수입하고 백신 제조기술 이전을 추진할 ‘우선 생산업체’ 5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녹십자수의학품, 대성생물연구소, 중앙백신연구소, 코미팜, 고려비엔피 등 5개사로, 이들은 향후 영국의 메리알, 네덜란드 인터베트 등의 구제역 백신 제조사들 등과 항원 및 부형제(근육주사를 통해 백신을 맞을 때 오래 흡수가 진행되도록 하는 2중 오일) 수입과 백신 제조기술 이전 협상에 나설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됐다.

기술이전이 이뤄지면 반제품 상태로 구제역 백신을 들여와 국내에서 완제품화하게 된다. 이 완제품을 정부가 검증해 효능에 문제가 없을 경우 최종 백신 생산업체로 결정된다.

현재의 백신정책이 지속된다고 가정할때 우리나라의 연간 구제역 백신 소요량은 3500만~4000만두 정도다.

구제역 백신 가격은 바이러스 타입이 하나인 경우 1달러, 3가지 바이러스 혼합형인 경우 1.5달러 정도이기 때문에, 국내에서 백신생산이 이뤄질 경우 최소 350억원, 최대 60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기대된다.

하지만 국내 생산이 무사히 이뤄질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내생산이 이뤄지면 구제역 백신을 더 저렴한 가격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지만, 기술이전 수준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거나 완성된 백신의 가격대가 높게 형성될 경우 백신의 국내생산 추진이 어려울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홍승완 기자/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