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윤호근 교수팀 암치료제 개발 가능성 한 단계 높였다
국내 연구진이 대장암 등 암세포 생성ㆍ증식에 대해 종양신호를 조절하는 경로를 규명하고, 이에 따른 치료제 개발을 위한 분자표적을 밝혀냈다.

24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한국연구재단과 함께 추진한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을 통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윤호근 교수<사진 오른쪽>팀은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윈트(Wnt) 신호’를 생체 내에서 제어할 수 있는 조절 스위치를 규명했다.

특히 이는 세계적 학술지 ‘셀(Cell)’에서 발행하는 분자생물학 분야의 최고 권위 잡지인 ‘몰레큘러 셀(Molecular Cell)’에 게재되는 쾌거도 이뤄냈다.

윈트 신호란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의 대표적인 작동경로 중의 하나로, 이 윈트 신호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베타카테닌(β-catenin)*이라는 단백질이 필요한데, 스모화 (SUMOylation, 단백질의 세포내 이동 결합 변화 및 활성화를 조절)라는 조절 스위치가 켜지면 베타카테닌(윈트 신호가 작동하면 세포의 핵 안으로 이동하여 윈트 유전자들 생성을 증가시키는 단백질) 복합체가 형성되어 윈트 신호를 작동시키며, 반대로 스모화 조절스위치가 꺼지면 윈트 신호가 억제되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스모화 조절 스위치가 켜지면 대장암 형성이 많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또 이를 통해 향후 대장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표적으로서 스모화 제어가 유용한 선택이 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윤호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윈트 신호의 새로운 작동경로를 밝혔을 뿐만 아니라, 향후 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분자표적을 제공했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정태일 기자@ndisbegin>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