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한국 재벌=사악한 부자’ 폄하 왜?
영세상공인 생활기반 위협…‘재벌=비자금’ 선입견 여전
유독 우리나라에서는 기업인, 특히 재벌을 ‘사악한 부자’라고 폄하하는 분위기가 적지않다. 재벌과 비자금을 동격시하는 고약한 선입견도 여전하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국가 정책의 수혜를 본 이들이 국가나 사회의 건전한 성장을 이끌어가기보다 중소기업의 먹을거리를 넘보거나 코흘리개의 주머니돈까지 탐내며 ‘쉬운 길’을 찾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이윤보 건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현재 대기업의 성장은 국가에서 차관 끌어다 주고, 외환위기 당시 국민의 희생을 감수하면서까지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지원해 줬기에 가능했다”면서 “그렇게 성장한 대기업이 혁신과 도전을 통해 이윤을 창출하는 ‘기업가 정신’을 실천하지 않고, 영세소상공인 생활 기반을 위협하는 방식으로 성장하려 하니 대기업에 대한 ‘동정론’이 없는 것이 당연하다”고 말했다.

실제 최근 빚어지고 있는 동네 슈퍼마켓 시장 진출이나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과 관련한 갈등은 물론이고, 그 이전부터 대기업은 ‘돈 되는 것은 다 한다’는 입장이었다. 이런 대기업의 행태에 대한 국민의 실망감이 기업인에 대한 반감으로 표출됐다는 것이다.

대기업 위주의 국가 정책 덕분에 우월적 지위를 얻은 기업인이 경제권력을 사유화하는 것도 기업인에 대한 반감을 부추긴다는 지적이다.

사회 규범이 법보다 높은 개념이라는 점에서, 국민은 법의 판단과는 달리 기업인의 흐려진 윤리의식에 대해 사회통념보다 엄격한 잣대를 들이댈 수밖에 없다는 게 이 교수의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또 기업인의 경제권력 사유화가 기업가 개인과 기업의 구분이 흐려지는 상황으로까지 이어졌다고 덧붙였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은 최근 잇단 기업의 기부활동에 대해서도 “기업활동으로 이익을 얻은 개인이 나눔을 실천하고 싶다면 기업인이 기부를 해야지, 왜 기업이 이를 대신해야 하느냐”고 꼬집었다.

시대가 변하면서 사회가 기업에 바라는 요구사항도 변했다. 예전에는 경제활동을 통해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기업의 역할은 끝이었으나, 이제는 진심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다하는 ‘사랑받는 기업(인)’이어야 존경을 받는다.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이라는 이미지와 함께 양호한 경영성과, 소외계층을 위한 봉사활동과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 등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이 우리 기업에 필요한 주요 덕목이 되고 있다. 전상진 서강대 사회학과 교수는 “요즘 대중은 기업에 대해 이윤추구라는 고전적인 의미의 기업의 이미지를 바라지 않는다”며 “세금탈루나 불법 증여 등으로 훼손된 도덕성을 회복하고 사회 구성원과 소통하는 기업이 이 시대가 바라는 기업상”이라고 말했다.

신소연ㆍ도현정 기자/shinsos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