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플레 우려 현실화…내수회복이 관건
물가 올리고 성장률 낮추고…한은 경제전망치 수정 의미
실질임금 줄고 빚은 늘어 ‘이중고’

공급보다 수요측면 불안 가중

소비확대 정책적 대안 절실



경제성장률이 떨어지고 물가가 계속 오르면 고통을 심하게 받는 것은 서민ㆍ중산층이다. 떨어지는 실질임금에 빚 갚는 데 바빠 쓸 돈은 줄어드는 데 앞으로 경제마저 좋아질 기미가 없다면 희망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15일 한국은행이 밝힌 올 하반기 경제전망치를 보면 딱 그 꼴이다.

한은은 이날 ‘2011 하반기 경제전망’ 자료에서 올 한해 우리경제가 당초 예상(4.5%)보다 0.2%포인트 낮은 4.3%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물가 전망치도 수정했다. 지난 4월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가 3.9%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가 이날 4.0%로 0.1%포인트 높여 정부의 전망치(4.0%)와 수위를 맞췄다.

무엇보다 물가가 문제다. 한은은 상반기에 4.3%(전년동기 대비) 올랐던 소비자물가가 하반기에는 3.8% 상승해 연간 4.0%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공급여건에 따라 가격 급등락이 심한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인플레이션율’이 상반기에 3.2%, 하반기에 3.8%로 올라 소비자물가 상승률 수준에 거의 근접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내년에는 소비자물가가 3.4%로 낮아지겠지만 근원인플레이션율은 3.7% 올라 소비자물가와 근원인플레이션 상승률의 역전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한은은 예측했다. 농산물과 석유류 등 공급 측면의 충격이 줄어드는 대신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갈수록 커져 수요 측면의 물가불안이 더욱 가중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 정도면 만성적인 인플레이션을 걱정해야 할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성장은 주춤하고 물가는 오르는 방향으로 올해 경제전망을 수정했다. 이상우 한국은행 조사국장이 15일 이 같은 내용의 2011년 하반기 경제전망 설명회를 갖고 있다. 
                                                                                                          김명섭 기자/msiron@heraldcorp.com

이상우 한은 조사국장은 이날 “앞으로 공급 측면보다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과 수요 측면이 물가수준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또 “내년 소비자물가 전망치를 올해보다 낮은 3.4%로 제시했지만 이는 기저효과가 상당히 반영된 것”이라며 “올해보다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다”고 말했다.

한은은 올해 GDP(국내총생산)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4.5%에서 4.3%로 수정했다. 4.5%로 예상한 정부보다 보수적으로 본 것이다. 이 정도 성장을 유지할 수 있는 것도 수출 덕이다. 수출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49.3%에서 올해 52.7%로 높아지고, 내년에는 55.5%로 상승한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결국 내수회복이 관건이다. 물가불안이 만성화되면 민간소비는 늘어날 수가 없다. 한은도 물가오름세 확대 가능성을 고려해 민간소비 증가폭을 축소 조정했다. 4% 중반의 경제성장을 유지하려면 민간소비 확대를 위한 정책적 대안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편 한은은 올해 경상수지 흑자규모를 당초 예상치(110억달러)보다 40억달러 늘어난 150억달러로 추정했다. 고용은 올해 연간 35만명 증가하고 실업률은 3.5%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신창훈ㆍ하남현 기자/chuns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