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외환은행만 상반기에 수신 감소 …영업력 약화 우려

외환은행의 수신잔액이 상반기 주요 시중은행 중 유일하게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몇개월째 은행매각에 반대하는 직원들의 집회가 계속돼 영업력 약화가 현실화한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2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 기업, 외환은행 등 6개 시중은행의 총수신 잔액은 지난달말 기준 810조5021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24조8496억원 증가했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이 7조7273억원 증가했으며 신한은행이 5조4976억, 기업은행 4조9956억원, 하나은행 4조5907억원, 우리은행 3조8154억원 늘어났다. 반면 외환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총수신은 67조5553억원으로 지난해말보다 1조7770억원 감소했다.

외환은행의 수신이 줄어든 것은 수시입출식예금(MMDA)이 5053억원 급감한데다 머니마켓펀드(MMF)와 저원가성 핵심 예금인 요구불 예금도 각각 1883억원과 1675억원 줄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 대출도 6026억원 감소했다. 외환은행의 중기대출은 지난달 말 기준 18조672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조800억원 줄었으며, 2009년말에 비해서는 1년6개월 새 2조5541억원이나 급감했다.

6개 시중은행의 원화대출은 상반기 중 25조1606억원 늘었으며, 중기대출은 9조926억원 증가했다.

외환은행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은 1986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2951억원)보다 32.7% 줄어드는 등 수익성도 둔화됐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상반기에 예금이 조금씩 줄어든 것은 고객 이탈이 아닌 계절적 요인에 따른 것이며 외국환시장 점유율 등 핵심 경쟁력은 강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외환은행의 대주주인 미국계 사모펀드 론스타는 최근 4969억원의 현금배당을 현금을 챙겼다. 론스타가 외환은행 인수 후 받아간 배당총액은 1조7099억원에 달한다.

이와 관련 외환은행 관계자는 “최근 불거진 고배당 논란에도 불구하고 2분기 당기순이익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재무안정성과 자본 적정성을 나타내는 주요지표들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환은행이 잠정 집계한 1분기 BIS 비율은 14.95%이며 Tier1(기본자본) 비율은 11.52%로 업계 최고 수준이다.

<신창훈 기자 @1chunsim> chuns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