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손학규, 영수회담 기회냐 무덤이냐
이명박 대통령과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27일 청와대에서 조찬 회담을 갖지만, 성과에 대해 의문을 갖는 시각이 적지 않다.

우여곡절 끝에 회담은 성사됐지만, 회담에서 논의될 의제들 자체가 워낙 입장 차이가 큰 사안들이기 때문에 가시적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느냐는 우려 섞인 전망 때문이다.

이 때문에 야당 대표로서 손 대표가 ‘밥만 먹고 나올 수 있다’는 최악의 시나리오도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가만히 있어도 1등을 하는데 굳이 회담을 자청했느냐”는 자조 섞인 반응들이 나왔고, 민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3년 만의 만남을 민주당이 나서서 마련했음에도 당 내부에서 볼멘소리가 나오는 데는 득보다 실이 더 클 것이라는 현실적 전망이 있었다.

당 중진 의원은 “대게 영수회담은 급한 쪽이 먼저 열자고 한다”며 “여권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더 큰 상황에서 지지율이 오르고 있는 야당이 영수회담을 먼저 제의한 게 의외”라고 말했다.

4ㆍ27 재보선이후 코너에 몰린 한나라당과 청와대를 압박할 타이밍에 ‘퇴로’를 열어줬다는 것. 영수회담을 열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한다면 민주당이 오히려 역풍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는 시각이다.

특히 이번 영수회담은 손 대표가 내놓은 일련의 정책들이 6월 국회 내 실현될 수 있을지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대화 창구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민생 추경편성 및 대학 반값 등록금 문제 등을 여권과 협의할 수 있는 유일한 테이블이 될 것”이라며 “추경편성의 경우, 청와대가 긍정적인 답을 내놓는다면 정부도 신속히 움직이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는 결국 영수회담 테이블에서 실적이 없다면 민주당으로선 여권과 더 이상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잡지 못할뿐만 아니라 야당이 주장한 복지정책들이 모두 공염불에 그칠 공산도 크다는 뜻이다.

의제 조율 과정도 난항을 겪었다. 특히 대학등록금 문제뿐만 아니라 한미 FTA 문제는 야당과 청와대의 입장차가 너무도 뚜렷해 합의 도출이 난망해 보인다.

그야말로 ‘밥만 먹고 오는’ 영수회담이 현실화할 경우에는 손 대표가 짊어질 부담이 크다. 당 지도부 전체가 대여 협상력ㆍ투쟁력 부재라는 비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민주당 지도부는 지난달 개각에서 후보자 전원이 도덕적 흠결이 있었음에도 단 한 사람도 낙마시키지 못할 정도로 투쟁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당 안팎으로부터 받은 바 있다.

<박정민 기자@wbohe>

boh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