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군주론’ 마키아벨리 사실은 공처가?
‘군주론’에서 온갖 권모술수로 출세하는 법을 소개한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실제로는 6명의 자녀와 아내를 애지중지한 가정적인 남자였다는 주장이 나왔다.

영국 일간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은 14일(현지시각) 마일스 웅거가 쓴 마키아벨리 전기에 따르면 마키아벨리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가정적인 남편이자 아버지였다고 전했다.

책에 따르면 마키아벨리의 세계관은 그의 인생에서 일어난 소란스러운 사건들에 영향받아 형성됐으며 이 사건들에서 그는 최전선에 있었다. 그는 이탈리아 정부를 위해 스파이 임무를 수행했고 레오나르도 및 미켈란젤로와 좋은 친구였으며 교황 알렉산드르 6세 및 그의 악명높은 아들 체사레 보르지아와도 관계를 가졌다. 체사레 보르지아는 바로 군주론에 영감을 준 인물이다.


웅거에 따르면 군주론은 마키아벨리가 정부 직위를 잃은 뒤 1513년 쓴 작품으로 당시에는 이 책을 가장 악명높고 영향력 있는 정치서로 쓸 의향이 전혀 없었다. 웅거는 또 마키아벨리가 극작가이자 시인이었으며 아내와 가족을 깊이 사랑하는 남편이었다며 마키아벨리의 이름이 냉소적인 행동이나 비양심적인 권력 추구를 묘사하는 형용사로 변했지만 이는 불공정하고 잘못된 고정관념이라고 주장했다.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더러운 술책을 이용해 출세하는 방법에 관해 썼으며 이 때문에 교활하고 비양심적이라는 의미의 ‘마키아벨리적인’이라는 단어까지 생겨난 바 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