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출구전략 당분간 없다…버냉키 “부양정책 지속 필요”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의장이 7일 하반기 경기성장세가 높아질 것이나 경기회복세를 붇돋우기 위해서는 경기부양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간 시행해온 경기부양책을 거둬들이고 정채금리를 인상하는 이른바 ‘출구전략’의 시행이 당분간은 없을 것임을 분명히 한 것으로해석된다.

이날 애틀랜타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한 버냉키 의장은 연준을 통해 사전 배포한 연설문을 통해 “고용상황이 정상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하고 “지속적으로 고용창출이 활발하게 이뤄질 때까지는 진정한 의미에서 경기회복이 이뤄졌다고 간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현재의 경기회복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큰 이유로 주택시장의 침체를 지적하면서 “사실상 건설산업의 모든 부문이 어려움에 처해 있다”고 말했다. 버냉키는 “미국 경제가 여전히 잠재성장률을 밑돌고 있으며 따라서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계속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준이 경기부양을 위해 풀어놓은 과도한 유동성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이라는 지적과 관련해 버냉키는 “최근의 물가 급등이 우려스럽기는 하지만 이 역시 일시적 현상이며, 낮은 임금상승률과 안정된 기대 인플레이션률 등을 감안할 때 물가상승 압력이 지속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버냉키 의장은 그러나 시장참가자들 사이에 연준이 3차 양적완화 조치를 검토할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추가 경기부양 조치에 관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 따라서 연준은 6월말로 종료되는 2차 양적완화 조치 이후 별도의 부양조치 없이시중의 전체 유동성 규모를 현 수준에서 계속 유지하는 것으로 경기회복를 뒷받침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의회에서 공화당 주도로 재정지출의 대규모 삭감 움직임이 전개되고 있는데 대해 버냉키 의장은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장기적 계획은 필요하지만 지출삭감을 서두를 경우 경기회복을 저해할 위험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유지현 기자/prodig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