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황석영, 생애 첫 전작 장편소설 ’낯익은 세상 ’출간
<리장=이윤미기자>“이맘때의 내 문학은 치열한 전위를 위해서가 아니라 모든 것을 쓸어버린 뒤의 폐허에 남아 있는 연민을 위한 것이 되리라.”

칠순을 앞둔 소설가 황석영씨(68ㆍ사진)가 생애 최초 전작 장편소설 ‘낯익은 세상’(문학동네)을 내며, 중국 리장에서 1일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그는 “이번 소설은 ‘만년문학’의 문턱을 넘는 첫번째 작품”이라고 말했다. 1962년 ‘입석 부근’으로 문단에 나온 지 햇수로 50년이다.

‘낯익은 세상’의 주무대인 꽃섬은 쓰레기장이다. 사람들이 쓰고 버리는 모든 물건들이 흉물스럽게 산처럼 쌓인 그곳에서 그나마 다시 쓸만한 것들을 그러모아 생계를 유지하는,세상에서 밀린 사람들의 이야기다.

주인공 14살 소년 딱부리에게 꽃섬은 세상 끝, 빈곤과 악취나는 끔직한 공간이지만 보통 동네에서는 만날 수 없는 경이로운 공간이기도 하다. 아이들의 비밀공간인 ‘본부’와 정신이 온전치는 않지만 버려진 개들을 돌보는 빼빼네 엄마집, 과거 농사짓던 풍요로운 꽃섬에 살던 김서방네 정령들을 만나며 딱부리는 황폐함에 빠지지 않는다. 2000여 마을이 화재로 잿더미로 변하고 동생 땜통이 독가스에 질식해 죽은 폐허속에서 딱부리는 깨닫는다. 오물과 쓰레기장과 버려진 물건들과 먼지와 썩는 냄새, 독극물까지 지금 살고 있는 세상 사람 모두가 지어냈다는 걸. 그리고 언제나 그렇듯이 들판의 타버린 잿더미를 뚫고 온갖 꽃들이 솟아나 바람에 한들거리고 나뭇가지위에도 새싹이 돋아날 것임을 믿는다. 


황씨는 지난해 이 작품을 준비하면서 ‘시간이 멈춘듯한’ 장소를 물색하다 700년전 중국 한 부족 마을 윈난성의 리장을 찾아냈다고 한다. 그러나 “그곳에서도 뉴욕이나 파리나 별 다름 없는 욕망이 다른 현태로 점령하고 있는 것을 보았다”고 했다. 작가는 욕망의 추악한 냄새와 잿더미, 자연적 치유의 순환 고리속에서 우리가 잃어버린 도깨비 정령들을 불러내 하나의 화해의 모티브로 제안한다. 그리고 묻는다 “내 속에 정말 아직도 살아있는 거냐?”

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