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 내년 도입
농림수산식품 분야 ‘기후 대응력’ 강화방안 수립
농업 온실가스 35% 감축

가축분뇨 자원화 등

분야별 정책과제 추진


지난해 여름 배추 파동의 원인 중 하나가 ‘배추 무름병’이다. 고온과 많은 비로 배추가 녹아내리고 속이 차지 않는 현상이다.

이게 고랭지 배추의 주산지를 덮치면서 생산량이 절반 가까이 줄었다. 주산지인 대관령, 태백, 영월 등의 지난 여름기온이 예년보다 2도 이상 높았던 데다 9월 중 강수량도 364㎜로 전년의 6배에 달했기 때문이다.

정부가 ‘농림수산식품 분야 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을 세운 것은 국가 식량 안보를 보장하고 농림수산식품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 구조를 확립하기 위해 기후변화에 대한 선재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농림수산식품 분야 기후대응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이뤄진다. 농업분야에서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를 35% 감축할 뿐만 아니라 산림 분야의 온실가스 흡수량을 6% 이상 늘리겠다는 것이 첫째 목표다. 농수축산, 산림, 수자원 및 식품 등의 분야에서 기후변화 대응력을 높이고 수급 불안을 해소한다는 것이 다음 목표다.

이를 위해 분야별로 적극적이고 세심한 정책과제가 추진된다.

농업 분야에서는 저탄소 농법이 확대된다. 예컨대 논을 담수상태로 유지하지 않고 며칠간 물을 뺀 후 다시 관개를 하는 ‘물걸러대기’만 활성화돼도 온실가스의 감축능력이 44%가량 향상된다는 설명이다. 주요 작물별 기후변화 예측 능력도 강화되고 기후변화 적응 품종도 개발한다.

축산 분야에서는 환경친화적 축산업 구축이 화두다. 가축분뇨의 자원화 시설뿐 아니라 반추가축의 장내발효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사료 등도 개발하는 등 다양한 대책이 시행된다.

수산 분야에서는 바다숲과 바다목장 등이 조성돼 온실가스 흡수원이 확대된다. 한국형 어장환경 예측기반이 구축되고 참다랑어와 같이 변화하는 수산 환경에 걸맞은 고부가가치 양식품종이 추가로 개발된다.

산림 분야에서는 훼손 산지 복원, 유휴 토지 조림, 수종 갱신을 통해 신규 탄소 흡수원이 확충된다. 2020년까지 30만㏊의 해외 조림이 이뤄지고, 국내에서 ‘산림 탄소 상쇄제도’도 활성화된다. 산림 식생변화의 대처 차원에서 편백, 백합나무 등 기후적응 범위가 넓은 수종으로 지역별 산림 구조도 개편된다. 2020년까지 33억㎡ 농업용수가 확보되는 등 수자원 확보도 강화된다.

전반적인 기후변화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관련 인프라도 강화된다.

농식품부의 주도로 지자체, 민간이 참여하는 이상기상 예보 전담기관인 ‘농림수산식품기후변화대응센터(가칭)’ 설립이 추진된다.

당장 내년부터는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가 도입되고, 이후에는 ‘농림수산식품 분야 탄소상쇄사업’도 시행된다.

농식품부와 산림청, 농진청 등의 공동기획을 통해 1조원 규모의 ‘기후 변화 대응 R&D가 기획되고, 기후변화에 걸맞은 종자개발 사업인 ‘Golden Seed 프로젝트’도 추진된다. 장기적으로는 현행 직불제와 정책자금 지원 시에도 저탄소 활동 여부를 지급요건에 포함시킨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고위 관계자는 “농식품부와 산하 기관들이 참여하는 기후변화 대응 TF를 구성해 기본계획를 토대로 올해 8월까지 분야별 세부추진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승완 기자/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