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AIST 교수·학생 절반 “징벌적 등록금 폐지해야”
올 들어 4명의 학생이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논란이 된 ‘징벌적 등록금제’에 대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생과 교수 절반 정도가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19일 KAIST교수협의회에 따르면 지난 7~13일 동안 교수 420명(전체586명)과 학생 1334명(전체1만5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성적에 따라 수업료를 차등지급하게 하는 징벌적 수업료에 대해 교수 56.7%가 ‘폐지’를, 31.9%는 ‘근본 취지를 살리되 개선방향 모색’을 바란다고 답했다.

학생의 경우 45.2%가 ‘폐지’를, 44.3%가 ‘개선방향 모색’을 희망했다.

또 다른 논란거리인 영어강의에 대해서는 교수의 52.4%가 ‘지정과목에 대해서만’ 실시할 것을, 37.9%는 ‘담당교수에게 일임’할 것을 요구했다. 학생들은 52.5%가 ‘지정과목에 대해서만’, 34.4%는 ‘담당교수에게 일임’을 주장했다.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기 위해 일률적으로 들어야 하는 신입생 디자인 과목에 대해서는 교수의 79.3%, 학생의 66.1%가 ‘학생의 전공분야, 장래희망 등을 고려해 학생 스스로 선택토록 해야 한다’고 답했다.

학생들의 정서함양과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것(복수응답)으로 교수들은 ‘학생들의 자발적인 체육, 학술 및 창작 프로그램 지원’(296명), ‘다양한 문화 및 창작 관련 과외활동 지원’(281명), ‘전문적인 심리 카운슬링 강화’(212명), ‘졸업생 및 선배학생들과의 멘토제도 강화’(200명) 등을 들었다.

학생들은 같은 항목에서 ‘다양한 문화 및 창작 관련 과외활동 지원’(969명), ‘교수와의 만남의 시간.기회 증대를 위한 제도적 노력’(815명), ‘졸업생 및 선배학생들과의 멘토제도 강화’(686명), ‘정서함양 및 인성교육을 위한 정규과목 개설’(535명), ‘전문적인 심리 카운슬링 강화’(527명) 등을 꼽았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