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베이비붐 세대 “인생 2막은 농촌서”
통계로 본 한국의 귀농현상
베이비붐 세대의 도시 엑소더스가 급격히 늘고 있다. 도시 생활을 접고 농촌에서 삶의 터전을 새롭게 일구는 ‘귀농ㆍ귀촌인’의 숫자가 지난 한 해 1만명에 육박했다. 특히 경제 발전의 중추 역할을 했던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시작되면서 최근 2년새 귀농인구가 급증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이들 귀농인구의 농촌 정착 및 기존 농업인들과의 조화 여부가 새로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710만명 본격 은퇴 시작

지난해에만 1만명 농촌행


귀농인구 82%가 베이비부머

90%는 농업을 생업으로


20~30대 젊은층도 15% 차지

다양해진 삶의 가치관 반영


귀농인구… 한 해 1만명=지난 한 해 도시를 떠나 귀농ㆍ귀촌을 택한 가구는 모두 4067가구에 달한다. 인구수 기준으로는 총 9732명이 귀농했다.

귀농인구는 최근 들어 급증세다. 2001년 불과 880가구 수준이던 귀농가구수는 꾸준히 증가하면서 2008년 2218가구까지 늘었으나, 2009년 4080가구로 급증한 이후 2년 연속 4000가구를 넘어서고 있다.

시도별로는 경북에 가장 많은 1112가구가 자리를 잡았고, 전남이 768가구, 전북이 611가구, 경남이 535가구 순을 나타냈다. 귀농은 이제 하나의 사회적 추세가 된 셈이다.
 
은퇴 시기가 도래한 베이비 붐 세대들이 제2의 인생을 농촌에서 시작하기 위해 대거
귀농하고 있다. [헤럴드경제DB

▶베이비부머… 농촌서 삶의 2막 연다=귀농인구의 급증은 1946~65년에 태어난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와 연관이 깊다.

지난해 귀농인구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50대 귀농이 35.8%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30.2%, 60대가 16.4% 순이다.

특히 농업 생산활동이 가능한 59세까지의 비중이 전체의 81.10%를 차지한다. 귀농이 단순히 여생을 보내기 위한 게 아니라 경제활동의 터전을 옮기고 ‘인생 2막’을 여는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다. 

실제로 지난해 농촌이주 가구 가운데 농업을 생업으로 하기 위해 이주한 ‘귀농’가구의 비중은 88.9% 수준이었다. 농촌에 살면서 농업 이외의 산업에 종사하거나 전원생활을 위해 이주한 ‘귀촌’ 가구의 비중은 11.1%였다.

71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 1955~1963년생들의 은퇴가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귀농 추세는 매년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사회도 도시도 싫다… 젊은 귀농=고도 산업사회가 주는 피로감에 따른 다양한 삶의 추구도 귀농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새로운 가치관을 가진 젊은 귀농인들의 숫자가 빠르게 늘었다. 지난해 귀농인 가운데 15%는 20~30대 였다. 아예 농촌에서 경제활동을 시작하는 20대 귀농가구의 수도 1.5%였다.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의 경기불황도 젊은 층의 귀농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귀농한 가구의 귀농전 직업 현황을 보면 자영업이 33.1%로 가장 높았다. 사무직이 19%, 생산직이 10.8% 순이었다. 상대적으로 경기둔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 소규모 자영업자들의 귀농 비중이 높았다.   

지난 2009년 6월 정부가 본격적인 귀농정책을 추진한 것도 최근의 귀농 증가를 촉진하고 있다. 정부는 현재 ‘귀농ㆍ귀촌종합센터’를 구축해 귀농을 원하는 사람들을 상대로 상담, 교육, 행정지원 등을 시행하고 있다. 매년 1200명 수준의 예비 귀농인들이 실습 위주의 귀농 교육을 받는 상황이다.   


기술도 돈도 없다=농촌행을 택하는 인구는 늘고 있지만, 귀농 자체는 여전히 쉽지 않다. 지난해 귀농가구의 47.2%는 귀농 후에 벼, 배추 등 노지작물을 재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원예사업이나 과수농업의 비중은 각각 10.9%, 17.8%에 그쳤다. 축산을 택하는 경우는 7.7%였다.

농업기술과 자본이 부족한 귀농인들이 초기 투입 비용이 적고 실패 확률이 낮은 노지작물 재배에만 집중되고 있다는 의미다.

귀농인들의 농촌사회 정착도 만만치 않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촌사회에서 귀농인들의 수가 늘고 위상이 높아지면서 기존 농업인들과의 관계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면서 “귀농인들은 농촌사회에 스며들기 위해 노력하고, 기존 농업인들은 귀농인을 새로운 농촌 구성원으로 받아들이는 합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승완 기자 @Redswanny>

sw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