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융거래 10명중 2명 신용등급 `빨간불'
우리나라 금융거래 고객 10명 중 2명이 신용거래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 저신용등급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대출보유 비중이 현격히 높아 금리 인상에 따른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14일 나이스신용평가정보와 금융권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신용등급자 3912만7687명 중 18.6%에 속하는 727만8405명이 7등급 이하의 저신용등급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신용도가 다소 우려되나 기존 거래를 유지할 수 있는 7등급은 356만4871명(9.11%), 신용도가 우려되는 수준으로 부실화가 진행 중인 8등급은 214만3607명(5.48%)이었다.

또 최하위 신용등급으로 신용거래에 문제가 있는 ‘위험등급’인 9, 10등급에 속하는 인원은 각각 98만1835명(2.51%), 58만8092명(1.50%)에 달했다.

분기별로 보면 저신용등급 규모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지난해 1분기 말 7등급 이하 신용등급자는 20.2%였으나 2분기 19.6%, 3분기 19.2%, 4분기 18.6%로 감소했다.

그러나 여전히 저신용등급의 대출 보유비중은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채무건전성 악화가 우려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이번달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는 했지만, 올해 금리가 꾸준히 오를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들의 채무부담은 더 늘어날 수 있다.

저축은행과 카드 대출 등을 포함한 신용등급별 은행연합회 대출 보유 비중을 보면 9~10등급의 대출보유 비율은 약 84%로 전체 평균 42.01%의 2배에 달했다. 9등급 중 대출 보유자는 82만5655명으로 84.09%, 10등급 중 대출 보유자는 49만5421명으로 84.24%였다.

이들 등급의 평균 대출건수 역시 각각 1.87, 2.53건으로 역시 평균 1.68건을 웃돌았다. 또 저신용등급은 평균 대출금액이 비교적 적은 편이었지만 10등급은 평균 대출금액은 5700만원으로 전체 평균 5440만원보다 많았다.

정순호 신용회복위원회 제도기획팀 팀장은 “9~10등급에 속하는 사람들은 이미 연체가 있거나 신용위험도가 높은 상황인데 최근 들어 물가·유가가 급등하고 있고 금리까지 오르면서 더욱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며 “상담을 받으러 오는 사람도 꾸준히 느는 추세”라고 말했다.

<오연주 기자 @juhalo13>
o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