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융거래 10명 중 2명, 채무건전성 우려
국내 금융거래 고객 10명 중 2명이 신용거래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신용자 규모는 경기 회복 등의 영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출보유 비중이 상당히 높아 금리 인상에 따른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14일 나이스신용평가정보와 금융권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신용등급자 3912만7687명 중 18.6%에 속하는 727만8405명이 7등급 이하의 저신용등급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 신용도가 다소 우려되나 기존 거래를 유지할 수 있는 7등급은 356만4871명(9.11%), 신용도가 우려되는 수준으로 부실화가 진행 중인 8등급은 214만3607명(5.48%)이었다. 또 최하위 신용등급인 9, 10등급은 각각 98만1835명(2.51%), 58만8092명(1.50%)에 달했다.

분기별로 살펴보면 저신용등급 규모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지난해 1분기 말 7등급 이하 신용등급자는 20.2%였으나 2분기 19.6%, 3분기 19.2%, 4분기 18.6%로 감소했다.

LG경제연구원 이근태 연구위원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위축됐던 경제가 최근 들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고용과 소득이 늘면서 저신용에서 탈출하는 사람들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여전히 저신용등급의 대출 보유비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금리가 꾸준히 오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들의 채무건전성 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저축은행과 카드 대출 등을 포함한 신용등급별 은행연합회 대출 보유 비중을 보면 9~10등급의 대출보유 비율은 약 84%로 전체 평균 42.01%의 2배에 달했다. 9등급 중 대출 보유자는 82만5655명으로 84.09%, 10등급 중 대출 보유자는 49만5421명으로 84.24%였다.

이들 등급의 평균 대출건수 역시 각각 1.87, 2.53건으로 역시 평균 1.68건을 웃돌았다. 또 저신용등급은 평균 대출금액이 비교적 적은 편이었지만 10등급은 평균 대출금액은 5700만원으로 전체 평균 5440만원보다 많았다.

신용회복위원회 제도기획팀 정순호 팀장은 “9~10등급에 속하는 사람들은 이미 연체가 있거나 신용위험도가 높은 상황인데 최근 들어 물가·유가가 급등하고 있고 금리까지 오르면서 더욱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며 “상담을 받으러 오는 사람도 꾸준히 느는 추세”라고 말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