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속되는 인플레 리스크...증시서 기회 찾는다면
일본 대지진으로 완화됐던 인플레이션 이슈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공포가 엄습해 있지만, 투자자 입장에서 시장은 먹잇감이 많다며 긍정적인 입장이다. 국내 시장에서는 인플레이션 수혜주에 관심을 둘 것을 당부하고 있는 가운데, 펀드에서는 커머더티 러시아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에 투자가 유효하다는 입장이다.

▶인플레이션 상황을 즐겨라=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주식시장은 매력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윤지호 한화증권 투자분석팀장은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채권보다는 주식이다”라며 “상품 시장도 괜찮지만 기본적으로는 주식시장이 매력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이렇게 매력적인 주식시장에서 투자전략은 어떻게 가져가야 할까.
오태동 토러스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이 비중을 확대하고 있는 가격 메리트가 높은 인플레이션 수혜주에 관심을 둘 것을 당부했다. 오 연구원은 종목으로는 LG화학(051910) 만도 OCI LG상사 동국제강 현대제철 고려아연 등을 추천했다. 

오광영 신영증권 연구원은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도 분산투자를 통해 충분히 즐길 수 있다”라며 “시장은 우려할 만한 상황이 아니며, 향후 2300~2400도 충분히 바라볼 수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오광영 연구원은 특히 인플레이션을 전가할 수 있는 우량기업에 관심을 둘 것을 권했다. 그는 “독보적인 시장점유율(MS)나 원가가 오른만큼 가격을 전가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유효할 것”이라고 밝혔다.

▶커머더티(상품ㆍCommodity)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짜라= 유가가 치솟고, 금값이 폭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역시 펀드투자는 커머더티로 방향을 잡는 것이 맞아 보인다. 

박재환 푸르덴셜자산운용 글로벌운용팀 실장은 “인플레이션 리스크는 계속 될 것”이라며 “투자측면에서는 커머더티다”라고 강조했다.

오광영 연구원 최근의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커머더티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오 연구원은 “최근의 인플레이션 상황은 공급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며 “이 때문에 커머더티 이야기가 많이 나올 수 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투자처가 커머더티에 국한되는 것일까. 답은 ‘아니다’다.

오광영 연구원은 “인플레이션이 가중되면서 커머더티 외에 러시아펀드도 좋았다”면서 “커머더티 비중이 높은 기업과 국가 증시에 투자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커머더티 관련 회사에 투자를 하거나 러시아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커머더티 비즈니스 관련이 높은 국가에의 투자도 유효하다”라고 덧붙였다.

박재환 실장은 인플레이션 연동 채권(TIPSㆍTreasury Inflation-Protected Securities)에 관심을 둘 것을 권했다. 박 실장은 “채권에 투자한다면 인플레이션 인덱싱해주는 매력이 있는 TIPS를 추천할만하다”라고 밝혔다. TIPS는 투자 원금에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뒤 그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으로,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헤지 상품이다. 

▶인플레이션 둔화, 아직 언급마라= 지난달 발생한 일본 대지진으로 인플레이션 이슈는 둔화되는 듯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미 일본 대지진 이후 다시 인플레이션 이슈가 재부각될 수 있다고 경고해왔다.

박재환 실장은 “일본 지진으로 인해 인플레이션 둔화될 것이라는 것은 과대된 평가된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은 지수상 계속 오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박 실장은 “하반기 돼야 인플레이션이 완만해질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지만, 이 역시 기대하는 것이지 실제로 완만할 것인지는 알 수 없다”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3월 국내 소비자물가 인상률은 4.7%로 2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해외 국가의 물가 상승률도 만만치 않게 나오고 있다. 브라질의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기대비 6.3% 증가하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으며, 오는 15일 발표되는 중국의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윤희진 기자@ggamjjin>
jji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