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발전축 ‘도심·강남·여의도’ 3원화
서울시가 도심과 강남 2개로 나눈 경제 발전축을 여의도·영등포를 추가한 3개축으로 바꾸기로 했다. 또한 서울시내에만 한정된 도시계획을 경기와 인천을 아우르는 광역 대도시권으로 확충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향후 20년간 도심과 강남, 여의도·영등포 등 3곳을 경제발전 ‘3핵(核)’으로하는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을 5일 발표했다.

이 안에 따르면 시는 서울의 미래상을 ‘살기 좋은 글로벌 녹색 서울’로 설정하고 도심과 강남, 여의도·영등포 등 3개 지역이 서울의 경쟁력 강화를 선도하도록 했다.

시는 이 곳에 외국 기업을 유치하고 글로벌 업무 환경을 조성해 수도권뿐만 아니라 국제 업무중심지로 육성하기로 했다.

또 용산, 청량리·왕십리, 상암·수색은 ‘3부핵(副核)’으로 정해 ‘3핵’의 기능을 지원토록 할 방침이다.

시는 과거 부도심에서 담당한 도시 서비스 기능은 8개의 광역 연계거점과 5개의 지역거점을 중심으로 수행토록 했다.

광역 연계거점은 망우와 창동·상계, 연신내·불광, 마곡, 대림·가리봉, 사당·남현, 문정·장지, 천호·길동 등으로, 이 지역은 인근 경기·인천 지역 도시와 연계해 생산·발전 기반을 갖춘 수도권의 중심 거점으로 육성된다.

지역거점은 미아, 신촌, 공덕, 목동, 잠실 등으로, 상업·업무거점으로 조성된다.

이번 계획에 따라 2020년을 내다본 도시계획인 ‘1도심, 5부도심, 11지역중심, 53지구중심’ 체계가 ‘3핵, 3부핵, 13거점(광역 8개, 지역 5개), 50지구중심’으로 전환된다.

이번 계획은 도시기본계획 승인 권한이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이양된 후 처음 수립된 것이다.

오세훈 시장은 “서울이 런던과 뉴욕 등 세계 대도시와의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이번 계획안을 만들었다”며 “이 계획을 통해 서울 곳곳이 생산력과 활력을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