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 최초 기상위성' 천리안, 내달 1일 정규운영
우리나라 최초 기상위성인 ‘천리안’이 4월 1일 오전 9시부터 정규 운영된다. 이로써 한국은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러시아, 인도 등에 이어 세계 7번째로 기상위성을 운영하는 국가가 됐다.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는 지난 해 6월 27일 남미 기아나 꾸르 우주센터에서 천리안위성을 발사한 이후, 궤도상 시험과 지상 시스템 점검 등 본격 가동을 위한 최종 점검을 마쳤다. 천리안 위성이 앞으로 7년 간 기상관측 임무를 수행한다.

천리안은 발사 후 목표 정지궤도(동경 128.2도 적도 상공)에 진입한 이후 같은 해 7월 12일 최초 가시채널 기상영상을 촬영한데 이어 8월11일에는 4개의 적외채널 기상영상 촬영에 성공했다.

천리안 위성의 정규운영으로 우리나라는 지구 북반구지역 기상영상을 15분마다 수신할 수 있다. 기존 일본 위성(MTSAT)으로부터 30분마다 수신했던 것과 비교하면 위성자료의 활용도가 2배 늘게 된다.

더욱이 한반도 지역에 대한 특별관측을 포함하면 1시간 동안 최대 8회를 관측할수 있어 위험기상 감시와 대응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천리안으로 관측한 기상영상은 충북 진천에 있는 국가기상위성센터에서 수신, 처리, 분석돼 기상예보뿐만 아니라 재난안전 관련기관, 민간 예보사업자, 언론기관,연구기관, 학교 등에 제공된다.

기상청 홈페이지(http://www.kma.go.kr)에서도 천리안 위성이 촬영한 기상영상을 볼 수 있다. 아울러 천리안 기상영상 분석자료는 기상예보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환경감시,항공, 수문, 에너지, 농업, 해양 등 관련분야 연구에도 도움을 줄 전망이다.

정부는 천리안이 수명을 다하는 2017년 발사를 목표로 후속 위성도 개발할 예정이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