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사람>고려팔만대장경은 ‘과거’ 아닌 ‘미래’
대장경 천년 세계문화축전 정종인 집행위원장
“해인사 주변 관광문화구역 조성

한민족 창의적 지혜 세계에 전파”



“세계 최초 금속활자인 고려 대장경은 ‘한국의 최고는 세계 최고가 될 수 있다’는 민족문화의 자긍심을 일깨웁니다. ‘대장경 천년 세계문화축전’을 계기로 우리 민족의 우수한 창의성을 세계에 알리고 오늘날에도 살아숨쉬는 변화무쌍한 창조적 지혜를 보여줄 것입니다.”

‘대장경 천년 세계문화축전’을 6개월가량 앞둔 가운데 정종인(61) 축전 집행위원장은 고려 팔만대장경을 ‘과거’가 아닌 ‘미래’라고 정의한다. 문화가 국격인 오늘날 고려 대장경은 앞으로 살아갈 천년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는 뜻에서다.

오는 9월 23일~11월 6일 45일간, 경남 합천군 가야면에 조성 중인 주행사장과 해인사 그리고 창원컨벤션센터 등 경남 일원에서 ‘대장경 천년 세계문화축전’이 열리게 된다고 밝혔다. 주요 행사 내용으로 대장경 문화실크로드 등 문화행사, 대장경 판각ㆍ인경 체험, 연등 제작, 사찰요리 체험 등 체험행사와 108배 릴레이 기네스 도전 등이다.

대장경 축전의 행사ㆍ전시 연출은 해인사, 홍류동 계곡 및 주행사장을 하나로 연결하는 문화축전 공간을 확대해 대규모 관광문화구역으로 조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주행사장에서 해인사까지 약 6㎞에 이르는 홍류동 계곡길에 ‘테마 로드’를 조성해 관람객들이 가야산의 수려한 가을 정취를 걸으면서 느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해인사와 주변 13개 암자에 담긴 수많은 숨은 이야기는 관람객들을 맞게 된다. 공간, 운영 등 마스터플랜에서 정 위원장 특유의 꼼꼼함을 엿볼 수 있다.


주전시관인 ‘대장경 천년관’은 로드실, 신비실, 전시실, 보존과학실 등 대장경의 역사적 흐름과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다. 특히 대장경 보존과학실에는 팔만대장경 원본이 전시되고, ‘대장경 수장실’에는 ‘팔리어 대장경’과 ‘산스크리트 대장경’ 등 세계적으로 희귀한 대장경들이 함께 전시될 예정이다. 이 밖에 지식문명관, 정신문화관, 세계교류관, 세계시민관 등도 운영된다.

사전 행사로 지혜의 릴레이, 대장경 프렌즈 네트워크 발대식, 대장경 주제곡 공모전이 열리며, 개막식과 축제 기간 본행사로 뮤지컬 형식의 주제공연, 멀티미디어 AV쇼, 해외 문화공연, 지역 예술단체 공연 등도 열린다.

또한 축전 D-100일을 기념해 6월 중순쯤 스님들과 일반인 등 1000여명이 참가해 ‘강화도~서울~해인사’를 연결하는 이운행사를 재현할 계획이다.

정 위원장은 “고려 팔만대장경은 지식의 보고가 아닌 지혜의 보고이며, 우리나라의 앞선 IT, 그린 테크놀로지의 살아 있는 증거”라면서 “이번 축전을 통해 팔만대장경이 우리나라의 기록문화, 정신문화를 상징하는 위대한 문화유산이라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16대 하동군 부군수와 경남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을 지냈던 정 위원장은 고려 대장경을 활용한 국격 상승에 사활을 걸었다.

윤정희 기자/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