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불확실성 해소…강남發 훈풍 기대감
개포지구 4만1135가구 재건축 통과…주택시장 영향은
통과 소식 전해지자 호가 급등

그동안 하락분 급속회복 조짐

세금감면 등 거래활성화 도움

구매심리 개선효과 확산 예상




“재정비안 통과 소식이 전해지면서 호가가 2000만원 이상 올랐습니다”

지난달 한 차례 보류 끝에 23일 강남 개포동 일대 400만㎡ 부지에 대한 ‘개포택지개발지구(공동주택) 제1종지구단위계획 재정비안’이 통과되면서 시장이 술렁이고 있다. 이날 오후 재정비안 통과 소식이 전해지자마자 집주인들이 순식간에 매물 호가를 2000만~3000만원씩 올리는 등 기대감이 곧바로 매도 호가에 반영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사업 지연에 대한 우려로 매수를 미루던 수요자들의 문의도 급증하고 있다. 단기간에 호가가 오르면서 매수-매도자의 시각차가 커지는 양상이다.

인근 중개업소들에 따르면, 지난달 7억3000만원에서 이달초 6억9000만원까지 떨어졌던 개포주공1단지 35㎡는 이날 7억1000만원까지 회복됐다. 이 단지 42㎡는 지난달 8억3000만원에서 이달초 7억8000만원까지 하락했다가 역시 이날 8억1000만원으로 반등했다. 50㎡도 이달초 9억원에서 9억2000만원으로 올라 지난달 호가였던 9억5000만원에 근접했다.

개포동 H공인 관계자는 “심의 보류로 인한 사업 불확실성이 걷히면서 한 달 보름 사이 많게는 6000만원씩 내려앉은 시세가 일정 부분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재정비안 통과로 현재 조합이 설립돼 현대건설과 현대산업개발로 시공사까지 선정된 개포주공 1단지가 재건축 사업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전진단 통과 단계인 개포주공 2ㆍ3ㆍ4 단지도 재건축 사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특히 재정비안의 통과 자체보다는 강남의 대표적 재건축 단지인 개포지구 아파트의 재건축 본격화가 서울과 수도권 주택 시장에 가져올 파장에 주목하고 있다. 이른바 강남발 주택 시장의 훈풍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점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에도 은마아파트의 정비계획 수립 개시와 잠실주공5단지의 안전진단통과 소식이 서울ㆍ수도권 주택 시장에 적잖은 영향을 미친 바 있다.

개포택지지구의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안이 통과되면서 일대 아파트의 호가가 2000만원 이상 오르는 등 시장이 술렁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날 재정비안 통과가 취득세 인하 등의 정부 대책 효과와 상승 작용을 일으키며, 강남 재건축 시장의 활기를 불어넣는 동시에 서울ㆍ수도권 주택 시장에도 소폭이나마 심리 개선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했다.   [사진=개포주공 전경]

특히 정부가 지난 22일 발표한 ‘3ㆍ22 주택거래활성화대책’은 강남권 주택 시장의 거래 활성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8ㆍ29 부동산 대책’ 이후에도 총부채상환비율(DTI) 적용을 받아왔던 강남3구는 오히려 이번 3ㆍ22 대책으로 고정금리와 비거치식 분할상환 조건이면 DTI 적용 비율이 상승하는 혜택을 받게 됐다.

대책에 포함된 취득세 50%감면 조치는 강남권 고가 주택의 매수를 저울질 하던 실수요자들에게는 결정적인 매수 유인책이 될 것으로 보인다. 취득세 감면 효과가 수천만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이영진 닥터아파트 리서치연구소장은 “지구단위계획 심의 보류로 주춤하던 수요자들에게 이날 재정비안의 통과는 불확실성의 해소로 인식될 수 있다”며 “이들이 매매 시장으로 유입돼 강남의 재건축 시장이 활기를 되찾는 동시에, 서울ㆍ수도권 주택 시장 전체에도 일정 부분 구매 심리가 개선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정순식ㆍ김민현 기자/ 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