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천안함 1년> 전국적으로 고조되는 국민적 추모열기
“천안함을 기억하라”

1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우리 가슴 속에 아픈 상처로 남아 있는 ‘천안함 사건’ 1주기인 3월 26일을 앞두고 국민적인 추모열기가 전국적으로 고조되고 있다. 군의 추모행사와 별도로 전국 각지에서 민간 주도로 추모행사가 준비되고 있는 가운데, 네티즌들이 역시 사이버 추모관 등을 통해 추모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해군은 25일 오전 11시 평택 2함대 영주함(1200t급)에서 김성찬 해군참모총장 주관으로 ‘3ㆍ26 기관총 기증식’을 개최한다. 3ㆍ26 기관총은 고(故) 민평기 상사의 모친 윤청자 씨가 기탁한 1억898만8000원의 성금으로 구입한 K-6 기관총 18정으로, 천안함 피격일을 잊지 말자는 뜻에서 명명했다. 몸체 왼쪽에 ‘3ㆍ26 기관총’이란 글씨가 새겨진 18정은 2함대 초계함에 2정씩 장착된다. 윤 씨는 작년 6월14일 이명박 대통령 초청으로 청와대를 방문, “1억원은 적은 돈이지만 무기구입에 사용해 우리 영해와 영토를 한 발짝이라도 침범하는 적을 응징하는데 써 달라”는 편지와 함께 사망보험금 1억원과 성금 898만8000원을 모두 기탁했다.

▶롤콜 등 다양한 추모행사=26일 오전 10시에는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천안함 46용사 및 한주호 준위 전사 1주기 추모식이 거행된다. 추모식에서는 전사자의 이름을 일일이 호명하는 ‘롤콜(roll call)’이 있고, 11시부터는 유가족과 천안함 장병, 특전여단 장병들이 전사자 묘역을 참배한다. 해군은 26일을 ‘추모의 날’로 지정하고 전 함정 및 육상부대에 조기를 게양하고 기적과 함께 묵념을 하도록 했다.

같은 시간 서울광장에서는 범시민 추모문화제가 열린다. ‘천안함 1주기 범시민추모위원회’가 개최하는 추모문화제에는 김수환ㆍ이만섭 전 국회의장과 강영훈ㆍ남덕우ㆍ이홍구ㆍ현승종 전 총리, 조용근 천안함재단 이사장 등이 고문 자격으로 참석하고 시민 1만여 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추모제는 경과보고와 추모연설, 유족대표 연설, 남성합창단의 합창, 추모시 낭독, 북한인권 연설, 청년학생의 결의 등의 순서로 진행될 계획이다. 탈북시인 장진성씨가 추모시로 희생장병의 넋을 위로하고 유족회 자문위원 이정국씨는 ‘산화 용사에게 모욕이 아니라 명예를’이라는 주제로 연설한다.

같은 날 천안함 46용사 모교 학생 46명으로 구성된 청소년 해양수호대는 1박2일 일정으로 영주함에 탑승해 백령도 근해로 이동해 해상경계 체험을 한다. 또 27일 12시 백령도 연화리 해안에서는 김성찬 총장 주관으로 천안함 46용사 위령탑 제막식이 거행된다. 피격 당시 초병이 물기둥을 관측한 지점이자 사건발생 현장과 가장 가까운 연화리 해안에 건립되는 위령탑에는 ‘영원히 꺼지지 않는 불꽃’이 설치되어 365일 밤낮으로 불을 밝히게 된다. 주탑은 높이 8.7m의 3개 삼각뿔 모양으로 영해와 영토, 국민을 지키겠다는 정신을 형상화했으며, 중앙의 보조탑에는 46용사 부조가 제작됐다. 보조탑 옆에 제작한 비문에는 “비록 육신은 죽었다 하나 그 영혼, 역사로 다시 부활하고 국민의 가슴 속에 영원히 살아 자유대한의 수호신이 되라”는 등의 글귀를 새겼다.

30일 오전 11시 진해 해양공원에서는 한주호 준위 동상 제막식이 거행된다. 동상은 한 준위의 불굴의 군인정신을 표현하기 위해 보트를 타고 위풍당당하게 작전지역으로 향하는 모습을 형상화했으며 뒤편 석탑 중앙에는 ‘영원히 꺼지지 않는불굴의 불꽃’을 설치했다. 해군 관계자는 “30일부터 4박5일간 해사 4학년 생도들이 백령도에서 전투배치 및 소화방수, 상륙기습훈련, 42㎞ 완전무장 행군, 경계 작전훈련 등을 한다”고 설명했다.

▶네티즌도 추모열기=‘천안함 사건’ 1주기를 맞아 국방부가 운영해온 천안함 피격사건 희생장병 사이버 추모관 ‘천안함을 기억합니다’를 찾는 네티즌들도 늘고 있다. 46 용사와 고 한주호 준위를 기르는 수백건의 추모글이 매일같이 올라온다. 또 한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도 21일부터 ‘천안함 1주기, 순국 장병을 추모합니다’라는 추모 서명을 진행 중이다. 네티즌들은 “대한민국 국민들은 모두 당신들을 기억할 것”이라고 추모 메시지를 전했다.

국방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26일은 천안함 피격사건이 발생한지 1년이 되는 날”이라며 “천안함 피격사건과 희생장병들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기 위해 25일부터 27일까지 모든 온라인 공간에서 글머리에 추모리본(▶◀)을 달고 함께 추모해 달라”고 밝혔다.

▶대전 부산 등지로 추모분위기 확산=46용사와 한주호 준위가 영면하고 있는 국립대전현충원이 자리잡고 있는 대전ㆍ충남지역을 비롯해 부산 등 전국적으로 추모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천안함과 자매결연한 충남 천안시는 21일부터 26일까지 6일간을 ‘천안함 46용사 추모기간’으로 정하고 다양한 추모행사를 갖는다. 시 인터넷홈페이지에 사이버 추모관을 운영, 시민 누구나 참여해 추모의 글을 남길 수 있도록 하고 24일에는 시 간부공무원을 비롯해 각계인사들과 함께 대전현충원을 찾아 현충탑과 천안함 46용사 묘역을 참배하기로 했다. 목원대 한남대 대전대 배제대 등 대전지역 대학들도 ‘천안함 46용사’에 대한 추모분위기에 동참한다.

부산지방보훈청은 26일 부산역 광장에서 ‘자랑스러운 천안함 46용사 추모 행사’를 거행하고 ‘추모 리본 달기 캠페인’도 전개한다. 이에 앞서 24일 부산역 광장에서 나라사랑협의회 주관으로 천안함 용사 추모 사진전이 펼쳐진다. 24~26일까지 3일간은 부산역 광장에서, 27~30일까지 4일간은 어린이 대공원 입구에서 사진전을 관람할 수 있다.

한편 고인들이 잠든 대전현충원 합동묘역에는 1년 내내 참배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아 지난해 4월부터 이달 현재까지 현충원을 찾은 사람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7만여명이 증가한 241만여 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대우 기자@dewkim2>
dew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