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플루토늄 사용 3호기 위험 여전...안전기능 몇 개만 살려도 효과”
국내 핵 전문가들 진단
“콘크리트 매몰 신중해야”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2ㆍ5호기에 전력공급이 시작되고, 1ㆍ6호기에 전력 복원 준비가 이뤄지면서 일본 대지진으로 파생됐던 핵 위기가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하지만 3ㆍ4호기는 여전히 원자로 주변의 방사선량 수치가 높아 아직 전력을 복원하지 못하고 외부에서 물을 뿌리고만 있는 실정이어서 아직 안심하기 이른 상황이다.

국내 핵 전문가들은 전력 복구가 선행돼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전력이 들어오면 냉각이 가능해져 복구가 수월해질 것”이라면서도 “장기적 처리 방안으로 체르노빌 때처럼 콘크리트 매몰 방식을 쓰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노희천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전력 공급 전에는 누전 가능성이라든지 파이프 시스템이라든지 체크해야 할 상황이 많지만 비상 상황을 대비한 안전시스템이 원전에 다양하게 갖춰져 있기 때문에 이 중 몇 가지만 살려도 도움이 된다”며 “안전 점검이 끝나고 전력 공급하기 시작하면 큰 고비는 넘겼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석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기획부장도 “냉각 계통들이 다행히 고장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되면 수조와 원자로에 물이 채워지면서 안정화가 된다”고 말했다.

이들은 격납용기 내 압력이 상승해 다시 방사성 물질 대량 방출 우려가 커지고 있는 3호기와 4호기를 빨리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정욱 일본 마쓰야마(松山)대 경제학과 교수는 “다른 원전은 우라늄을 농축한 핵원료만을 사용하고 있는 데 반해 3호기는 지난해 10월부터 플루토늄을 쓴 우라늄 핵원료를 사용하고 있다”며 “플루토늄이 들어있는 연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보통 우라늄을 사용한 원전보다 사고가 났을 경우에 피해가 배 정도로 커진다”고 말했다.

특히 3ㆍ4호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뿌린 해수가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노희천 교수는 “3ㆍ4호기 수조 쪽도 수위가 떨어져 바닷물을 부어 보충을 했는데 바닷물 속의 염분이 시스템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면서도 “전력이 들어오면 바닷물을 밀어내고 민물을 수조 안으로 들여넣는 시스템이 가동되면 민물로 장기 냉각이 가능해져 복구도 수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현재 원자로 내에 있는 폐연료봉에 대해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전했다.

김무환 포스텍 첨단원자력공학부 교수는 “폐연료봉은 10년 이상 장기간 냉각된 것이라 지금 사람들의 우려만큼 위험성이 큰 것은 아니다”며 “전력이 공급되면 살수방식이 아닌 펌프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니 지금보다 상황이 희망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들은 ‘후쿠시마 원전’이 ‘체르노빌 사태’ 수준으로 이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체르노빌처럼 콘크리트 매몰 방식을 쓰는 데는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김 교수는 “체르노빌 때는 격납용기도 없고 원자로도 아무런 보호장치가 없어 지금보다 상황이 더욱 심각했고 방사선 누출량도 훨씬 컸다”며 “그때처럼 심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석호 부장은 “노심이 용융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로 덮으면 주변 토양과 지하수 오염의 가능성이 있다”며 “수년이 걸리더라도 포집하는 등 근본적으로 방사능을 없애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상윤ㆍ김상수ㆍ박수진 기자/ ken@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