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영국 평가기관 “서울대 학문평판도 세계 50위권”
국내 주요 국립대학인 서울대와 카이스트(KAIST)의 학문 평판도가 세계 50위권, 90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대학평가 기관인 ‘THE(Times Higher Education)’는 2011년도 세계대학 평판도 설문조사에서 서울대가 51∼60위 그룹에 포함됐다고 15일 밝혔다.

평판도는 대학의 학문적 명성에 관한 지표로, 이 조사는 지난해 봄 131개국의 중견 학자 1만3338명에게 ‘제자에게 대학원 진학을 권하고 싶은 곳은 어디인가’ 등의 질문을 던져 답변 빈도로 순위를 정했다. ‘THE’는 51위부터 100위까지는 수준이 비슷한 10개 대학을 묶어 그룹별 순위만 밝혔을 뿐 구체적인 등수를 표기하지 않았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서울대는 한국 대학 중 평판도가 가장 높았고, 함께 51∼60위권에 포함된 다른 외국 학교로는 스웨덴의 명문 의대인 카롤린스카 연구소(Karolinska Institutet) 외에 미국 뉴욕대, 호주국립대, 일본 도호쿠대,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등이 있었다. 카이스트는 91∼100위 그룹에 속해 홍콩 과기대, 영국 셰필드대, 싱가포르 난양공대 등과 동급이었다.

1∼6위는 하버드대, MIT, 케임브리지, UC버클리, 스탠퍼드대, 옥스퍼드대 등 미국과 영국 학교들이 차지했고, 이들의 평판도 점수는 아래 7∼10위권의 3∼4배에 달해 최상위권 독식 현상이 심했다.

평판도 외에 교육ㆍ연구환경과 국제화 수준 등을 모두 고려한 지난해 ‘THE’의 세계 대학 평가에서는 포스텍이 28위로 한국 대학 중 가장 순위가 높았고 카이스트(79위), 서울대(109위), 연세대(190위)가 뒤를 이었다.

‘THE’의 필 바티 부(副) 에디터는 “평판도와 전체 대학평가 순위는 당연히 차이가 있다”며 “한국 대학의 역량이 좋은 만큼 장기적으로는 평판도가 꾸준히 높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THE’는 애초 영국의 교육업체인 QS(Quacquarelli Symonds)와 함께 세계 대학 순위를 발표했으나, 논문 인용도 계산법 등과 관련해 의견이 엇갈리며 지난해부터 별도의 대학평가를 내놓고 있다.

<신상윤 기자 @ssyken>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