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리비아에 한국 용병이...?
“한국인이 위험하다”

주영대사관과 주리비아 한국대사관, 한국의 외교통상부가 발칵 뒤집힐 만한 급보가 있었다.

지난 19일 영국 일간 가디언 인터넷판에서는 “한국 용병들이 리비아 민주화 시위 폭력 진압에 앞장서고 있다”는 글이 등장했다. 이 글은 해당  신문사의 담당 기자가 블로그를 통해 전한 내용이었다. 시위 현장의 긴박한 상황을 고스란히 옮겨놓은 이 글에서 리비아의 여성은 “한국과 아프리카 용병들이 벵가지 시위대와의 전투를 위해 밀려 들어왔다”는 말을 전했고 이는  ’음성’ 파일로까지 첨부돼 있었다.

'오보'였다. 과거 북한군이 리비아에 파견돼 교육 및 훈련을 담당한 적은 있었으나 한국군이 리비아에 용병으로 있다는 것은 있을 수도 없는 일. 하지만 문제는 한국의 대형 건설업체 현장이 폭도화한 주민들로부터 피습을 받고 있는 상황에 이 같은 내용의 글은 현지인들을 자극하는 것이라는 사실이었다. 더불어 현지의 한국인과 한국기업들은 더 큰 위험에 빠질 수 있는 상황이었다.

이에 주영 한국대사관은 황급히 비상망을 가동, 해당 신문사와 접촉을 시도했다. 19일, 우리 시간으로는 토요일이었던 휴일이었기에 담당 기자는 물론 편집인 등과 연락이 닿지 않았다. 하루빨리 기사 삭제를 하지 않는다면 리비아에 있는 한국인들에게 더 큰 위험이 닥칠 수도 있다는 긴장감이 대사관에 감돌았다.

수소문 끝에 당직자와 연결이 됐지만 신문사 측은 기사 삭제 요구에는 응하지 않았다. 겨우 오후 2시가 되어서야 “대사관이 한국 용병은 리비아나 아프리카에 ’현재’ 없다고 전해왔다”는 반론만을 해당글에 덧붙였다. 

반론으로 해결될 사안이 아니었다. 이에 주영 한국대사관 홍보관은 다시 국제 담당 편집인을 접촉했다. 현지 한국인의 안전에 심대한 위협이 된다고 지적했다. 전세계적 관심이 리비아에 쏠려 있는 현재, 한국인이 위험에 처하게 될 상황을 생각해 ’무조건’ 기사 삭제를 요구했던 것. 거듭된 요구와 설명에 ’오보’임을 인정한 신문사 측은 인터넷판에 있던 한국 관련 부분과 오디오 파일을 모두 삭제했으며 21일자 신문에도 한국과 관련된 부분을 싣지 않았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