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촌보다는 이모, 먼 친척보단 애완동물이 ‘한 가족’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친척 가운데 외가 쪽을 더 가깝게 여기며 애완동물을 ‘가족’이라고 생각하는 비율도 기성세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22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지난해 6~7월 중·고교생 69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공개한 ‘세대 간 의식구조 비교: 가족과 가정생활에 관한 의식 및 가치관을 중심으로’보고서에 따르면 “가족으로 볼 수 있는 대상을 고르라’는 복수응답 질문에 ‘이모’를 고른 응답자가 83.4%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외삼촌(81.9%), 고모(81.7%), 백부·숙부(79.8%), 이모부(78.7%), 외숙모(78.6%), 백모·숙모(78.2%), 친사촌(78.0%), 고모부(77.5%) 등 순으로 대체로 외가 쪽 친척을 친가 쪽보다 더 친밀하게 느끼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전문가들은 직장에 나가는 어머니들이 아이를 친정에 주로 맡기면서 외가 친척과 친해질 기회가 많아져 생긴 경향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오랫동안 길러온 애완동물’도 57.7%의 답변을 얻어 ‘촌수는 멀지만 가깝게 지내는 친척(49.9%)’을 제쳤다.

반면 학부모 4010명을 대상으로 같은 설문조사를 한 결과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인정한다는 대답은 34.5%에 불과했다.

이종원 책임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이러한 결과는 한국 사회의 가족관이 전통적인 부계-혈연 중심에서 모계-생활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고 밝혔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