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계인구 6명중 1명 굶주리고 있다
전세계 인구 6명 중 1명은 굶주리고 있다. 무려 10억명의 인구가 만성적 기아에 직면해있는 것이다. 농산물 가격 폭등으로 인한 만성적 굶주림이다. 이는 지난 2007년~2008년 식량 위기 당시와 맞먹는 수치다.

영국의 경제지 파이낸셜 타임스(FT)는 16일 ‘10억명 만성적 기아에 직면’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기아 인구는 지난해 기준으로 9억2천500만명인데 이 인구가 식품가격 상승으로 연말까지 10억명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만성적 기아에 처한 세계 인구는 1980년대 이후 8억5천만명 수준이 유지됐으나 2007~2008년 식량 위기를 겪으면서 처음 10억명을 돌파하게 됐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세계 식품 가격 상승은 이미 수천 만명을 빈곤으로 추락시켰으며 소득의 절반 이상을 식비에 지출하는 취약 그룹에 압력을 가중시키고 있다“는고 세계은행 로버트 졸릭 총재의 발언을 전하며 “흉작과 수출제한, 재고 부족, 신흥국 수요 급증, 유럽지역의 바이오에너지용 수요 증가 등으로 소맥과 옥수수, 콩 값은 30개월 만의 최고를 기록했다”고 식량 가격 폭등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2007~2008년 식량 위기 이후 얼마 안 돼 몰아닥친 식품가격 폭등은 1회성 사건이 아니며 수요가 향후 수년간 식품가격을 상승시키는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

그럼에도 위안이 될 만한 요소는 있었다. 쌀값의 안정이다.이는 세계 식량 안보와 30억 아시아인의 주식을 위해 가장 중요한 2대 농산물의 하나인 쌀의 안정된 가격 유지는 다수 아프리카 국가들의 풍작도 국제 도매가격 급등에도 불구하고 현지 가격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현재의 위기를 잘 넘길 수 있으리라고 낙관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