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내 흡연자 설땅 없어진다
서울시내에서 금연지역이 지속적으로 늘어나 내년에는 대부분의 버스정류장과 공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다음달부터 청계ㆍ서울ㆍ광화문 광장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고 3개월간의 계도기간을 거쳐 오는 6월 1일부터 이 구역에서 흡연하다 적발되면 과태료10만원을 부과한다고 14일 밝혔다.

9월에는 남산공원과 용산공원, 어린이대공원 등 서울시 관할 공원 23곳을, 12월에는 중앙차로 버스정류장 295곳을 금연구역으로 정할 방침이다. 공원과 중앙차로 버스정류장에도 계도기간 3개월을 부여할지는 미정이다.

또 내년 1월부터 가로변 버스정류장 5715곳과 근린공원 1024곳, 학교주변 반경 50m 이내인 학교 절대정화구역 등을 금연구역으로 정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각 자치구에 금연구역 범위와 지정 시기, 과태료 10만원 등의 내용이 담긴 ‘간접흡연 금지 조례’ 표준안을 보내고 올해 상반기 조례를 제정하도록 지침을내렸다.

다만 단속원 운영과 금연구역 표지판 설치 등을 위한 예산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금연구역을 일시에 지정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확대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간접흡연 피해율이 2009년 92.4%에서 작년 97.5%로 상승함에 따라 2014년까지 이를 85% 이하로 줄이고, 흡연율도 2009년 24.3%에서 20% 이하로 낮춘다는 목표를 세웠다.

서울시는 다음달 2일에는 청계광장에서 오세훈 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간접흡연 제로 서울 선포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5월에는 흡연을 전면 금지하거나 금연구역과 흡연구역을 구분한 PC방 100곳을 금연우수 PC방으로 인증하고, 금연 아파트와 금연 음식점, 금연 택시 등의 금연 권장 사업을 계속 추진할 방침이다.

<이진용 기자 @jycafe>
 jycaf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