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흥국 인플레, 선진국 재정건전성 악화…경제위험 상존
신흥국의 물가 상승과 선진국의 재정건전성 악화 등 경제 위험요인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정부가 진단했다. 정부는 공급측면의 물가 불안이 확산되지 않도록 물가안정 대책을 보완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8일 발간한 ‘올 2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보고서에서 “구제역, 유가 등 공급부문 불안요인으로 물가가 상승했다”면서 대신 “수출과 내수 등 실물경기 회복세는 지속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1%로 상승했다. 농축수산물, 석유제품, 가공식품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물가가 4% 선을 넘어섰다. 재정부는 “근원물가는 2%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서비스요금 상승 등으로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전월보다 확대됐다”고 지적했다.

다행히 작년 12월 기준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 자동차 부문 호조에 힘 입어 증가폭이 확대됐다. 서비스업 생산은 구제역, 한파 영향을 받긴 했지만 내수회복 흐름에 따라 증가세를 이어갔다. 재정부는 그린북을 통해 “앞으로 서비스업 생산은 소비 증가, 주식시장 상승세, 수출 호조 등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면서도 “건설경기 부진, 설비투자 증가 둔화, 구제역과 조류독감 여파 등은 하방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외 경제상황은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다. 미국 등 세계경제 회복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지만 위험요소가 많기 때문이다. 재정부는 “선진국의 재정 건전성 악화, 신흥국의 인플레이션(고물가) 우려, 중동정세 불안 등 위험요인이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국내외 위험요인에 대비해 경제체질 개선 노력을 지속하겠다”면서 “공급측면의 물가 불안이 확산되지 않도록 지난 1월 13일 시행한 물가안정 종합대책의 추진실적을 점검ㆍ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조현숙 기자 @oreilleneuve>

newea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