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국 상품 투기 거래 규제안 1차 가결
미국의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13일 원유와 구리 옥수수 콩 밀등 국제 상품의 투기적 거래를 규제하는 ‘선물 포지션 제한’ 방안을 가결했다.

민주 공화당 양당 위원으로 구성된 CFTC 위원회는 월가 대형은행들의 집요한 반대 로비에도 불구하고 이날 4대1로 상품 선물 투자에 대한 규제안을 가결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등이 보도했다.

가결된 규제안은 60일간의 공람 기간을 거쳐 최종 표결을 거쳐 시행된다.

규제안을 농산물과 금속, 귀금속, 에너지등 28개 상품에 대해 선물 계약을 인도 시기에 인도할 수있는 공급물량의 25%로 제한하는것을 골자로한다.

상품에 대한 투기적인 과잉 선물 계약으로 거품이 발생해 시장 가격이 왜곡되는것을 막기위한 조치이다. 이 방안이 시행되면 대형 트레이더들이 규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CFTC는 농산물 분야에서는 70명의 트레이더를 포함, 금속 6명, 귀금속 8명, 에너지 40명등의 대형 트레이더들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CFTC는 2단계 규제안으로 앞으로 상품 인도 시기와 상관없이 1명의 트레이더가 특정 상품에 대해 계약 건수 기준 2만5000건, 물량 기준 전체 시장 규모의 10% 이상을 계약할수 없게 규제할 예정이다.

이번 규제안은 지난해 7월 통과된 오바마 대통령의 금융개혁법인 도드-프랭크 법에 따르면 것으로 600조 달러에 달하는 파생 상품시장에 대한 규제 시행안을 CFTC가 2011년말까지 내놓도록한데 따른 것이다.

당초 지난달에 개리 젠슬러 CFTC 회장이 선물 옵션 계약 물량을 규제안을 내놓았으나 112대 의회 개원 전이어서 표결이 미뤄졌다.

하지만 월가의 블랙록, 모건스탠리등 대형 투자은행들과 다국적 정유사인 로열더치셸 등이 반대로비를 펼치고 있어 최종 가결은 아직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국제 상품 시장의 큰 손들은 지난해말부터 CFTC의 규제안 시행을 앞두고 상품 시장에서 투기적인 매점 매석에 들어가면서 상품가 폭등을 부추기는 한 요인으로 지목되고있다.

월가의 JP모건은 지난해말 런던금속거래소(LME) 에서 세계 구리 재고의 절반 이상을 익명으로 싹쓸이 계약하기도했다.

고지희 기자/jg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