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함바 비리’ 유상봉씨 로비 어디까지…......檢, 與실세 등 수첩속 1000명 집중 추적
일부선 허세 가능성도 제기분양권 비리 의혹도 수사
경남지역 단체장과 여권 실세 인사 등 유상봉(65) 씨가 접촉했던 공직자들의 폭이 갈수록 확대되면서 유 씨의 로비선이 어디까지 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의 다이어리에 적힌 1000여명의 이름에는 내로라하는 인사가 망라돼 있어 실제 로비대상인지, ‘허세’로 기록해둔 것인지 검찰이 정밀진단에 나섰다.
아울러 신규 아파트 분양권 거래에도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는 등 비리의 매개체도 속속 추가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유 씨의 주장이 관계 인사들이나 피해자들의 기억과 다른 점도 곳곳에서 드러나 일부 고위층 로비 시도는 미수에 그쳤을 가능성도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다.
▶1억원만 줬을까?=유 씨는 건설현장 식당업계에서 “1000억원을 벌어서 500억원을 로비에 썼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떠돌 정도로 ‘통 큰 로비’로 유명했다.
그러나 강희락 전 경찰청장에게 1억1000만원, 이길범 전 해양경찰청장에게 3500만원 등 정작 로비 대상에게 돌아간 돈은 크지 않은 편이다. 이 전 청장의 경우 아파트 분양권 중도금 대납 등 남은 의혹이 있다는 점을 감안해도 억대에 머무른다.
건설현장 식당 운영권을 직접 좌우하는 건설사 대표에게도 2억4000만원을 건네는 선에 그쳤다. 세간에 떠도는 ‘로비 대상 100명설’을 고려해도 500억원이라는 규모에는 크게 못 미친다. 전직 경찰총수가 1억1000만원 때문에 다른 경찰들에게 유 씨를 적극적으로 소개시켜 줬다는 것도 이해하기 힘든 대목이다. 때문에 유 씨가 경찰을 비롯한 정ㆍ관계 인사들에게 건넨 금품은 세간에 알려진 액수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권력형 브로커?=경찰과 서울시를 비롯한 지자체에 수시로 드나들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유 씨가 희대의 권력형 브로커로 그려지지만, 유 씨 특유의 과시성 언행을 그대로 믿을 수 없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경찰 내부에서는 오히려 유 씨를 질 낮은 사람으로 보고 접촉을 조심했다고 전해진다.
말년에는 회사가 거의 파산상태에 이르는 등 경제적 여건이 어려워지면서 무리한 거짓말까지 해가며 로비 자금을 모으는 등 궁지에 몰렸던 것으로 확인됐다.
한 피해자는 “외제차를 몰고 다니는 세련된 노신사라고 보기 어려웠고, 평범한 촌로에 가까웠다”고 기억했다. 유 씨가 과시했던 전직 장관과의 인연도 오히려 유 씨가 임모 전 장관의 동생에게 1억3000만원을 빌린 후 갚지 않고 버티는 상황이다. 이 같은 정황으로 미뤄 유 씨가 광역단체장, 차관급 인사, 여당 최고위원 등에 접촉을 시도하고 만난 과정이 실제 로비를 했다기보다는 ‘허세 부리기’였을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건설현장 식당까지만 노렸을까=유 씨가 본인의 주장대로 권력의 상층부까지 접근 가능했던 브로커였다면 로비 목적이 단순히 건설현장 식당만을 위한 것이었는지도 의문이다.
건설현장 식당이 1000가구 규모의 아파트 공사면 3년에 10억원까지도 벌 수 있는 알짜배기 장사라지만 경찰이나 지자체, 국회 등을 가리지 않고 로비할 정도인가에 대해서는 설득력이 부족하다.
실제로 유 씨는 강 전 청장에게 경찰관 인사 청탁도 하는 등 ‘+ α’ 로비 혐의도 드러났다. 일선 경위들 사이에서도 평판이 안 좋을 정도였던 유 씨를 전직 경찰총수가 계속 알고 지냈다는 것도 수상한 점이다.
도현정 기자/kate01@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