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AIST, 세계 최대 ‘암 DB’ 구축
모든 암 담아낸 ‘단일세포 지도’
면역 치료제 예후 예측 큰 효과

KAIST는 박종은(왼쪽) 의과학대학원 교수, 최정균(오른쪽)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세계 최대 규모의 암 조직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면역 치료의 예후 예측에 중요한 세포 생태계 타입을 보고했다고 22일 밝혔다.

단일세포 및 공간전사체란 모든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개별 세포 단위에서 혹은 3차원 조직 구조상에서 분석한 데이터를 말한다. 암은 우리 몸 안에서 스스로 진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암 조직 내의 세포 생태계를 구성하는 각 세포의 이질성과 이들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KAIST 연구팀은 약 1000개의 암 환자 조직 샘플, 500여 명의 정상 조직 샘플에 대한 단일세포 전사체 데이터를 30종 이상의 암종에 대해 수집해 모든 암에 대한 세포 지도가 총망라된 전 암종 단일세포 지도를 구축했다.

내과 전문의가 포함된 연구진이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고, 메타데이터 재처리와 암종 분류를 진행함으로써 암 조직을 구성하는 100여 개의 세포 상태를 규정하고, 이들의 발생빈도를 바탕으로 암종별 조직의 상태를 분류했다.

또 미국의 암 환자 공공 데이터베이스 등의 대규모 코호트 데이터를 활용해 각 세포 상태가 암 환자의 치료와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특히 여러 세포 상태 간의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서 암세포 생태계 네트워크를 구축, 이 중에서 삼차 림프 구조(tertiary lymphoid structure)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인터페론 연관 생태계가 삼성서울병원 폐암 코호트를 포함해 면역관문 억제 치료를 받은 여러 암종에서 면역관문 억제 치료 반응 예측에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박종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세계 최대 규모의 암 조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이를 바탕으로 면역 치료의 예후 예측에 중요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수의 환자에게 아주 좋은 치료반응을 보이나 일부의 경우 면역 관련 부작용을 나타내는 면역 관문 억제제의 치료 대상군 선정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4일자로 출판됐다.

구본혁 기자

nbgk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