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당신의 문해력+' AI 시대에 살아남는 인간의 힘, 문해력

[헤럴드경제 = 서병기 선임기자]최신의 인공지능에 대한 정보와 함께 인간과 AI 간의 흥미로운 대결과 내용을 담은 '당신의 문해력 플러스' 13부 ‘AI 시대에 살아남는 인간의 힘, 문해력’이 10월 6일 밤 10시 45분 EBS 1TV를 통해 방송된다.

-인간을 넘어서는 인공지능, 과연 어디까지 능가할까?

얼마 전, 미국에서 열린 미술대회의 우승자는 AI였다. 명령어만 내리면 인간 못지않은 혹은 인간을 능가할 정도의 그림도 뚝딱 나오는 시대. 미국에서는 이미 AI가 쓴 소설이 수 백 권에 이르고, 우리나라에도 지난 8월에 AI가 낸 시집이 출간되기도 했다. 인간의 고유 영역이라고 불리던 창의력마저 빠른 속도로 침범하고 있는 인공지능. 소위 AI 시대, 곧 닥칠 미래에 인간은 어떤 경쟁력을 가져야 할까?

-논문, 기사도 작성하는 AI

AI가 사람만큼 논문을 쓸 수 있을까? 미국에서는 AI를 놓고 몇 가지 주제에 대해 논문 작성 과제를 테스트했다. 법률, 역사 등 팩트가 명확한 과제에 대해 AI가 받은 성적은 B-. 중간 정도의 평가는 받은 것이다. 놀라운 것은 논문 작성 시간. 논문 하나를 쓰는 데 걸린 시간은 3분에서 20분 내외에 불과했다. 사람이 며칠 동안 자료를 찾고, 고민하고, 작성하는 과정이 AI에겐 차 한 잔 마시는 시간 정도 밖에 걸리지 않았던 것.

이뿐만이 아니다. 서울대에서 만든 ‘로봇 기자’가 스포츠, 증시 결과 등 사실을 전달하는 기사를 쓰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2-3초. 5분이면 몇 천 건의 기사를 쓸 수 있다. 일상, 학업, 직업에서도 AI가 인간의 삶과 생존을 위협하는 수준에까지 이른 것이다.

-인공지능이 아직 따라잡지 못한 인간의 능력, 통찰력

데이터를 빠르게 읽고 처리하는 로봇 기자. 하지만 로봇 기자가 쓰지 못하는 기사가 있다. 바로 원인과 이유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심층 기사, 서사가 있는 스토리텔링 기사와 같이 인간의 ‘통찰력’이 필요한 기사는 AI가 쓸 수 없다.

통계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데이터 속에서 찾아내서, 이유를 분석·탐색하는 통찰력은 AI가 아직 가질 수 없고, 앞으로도 무척 가지기 힘든 영역이다. 그리고 이 통찰력은 결국 맥락과 추론, 함의를 파악하는 문해력을 통해 가질 수 있다.

-AI 시대에 살아남는 힘, 문해력

지난 2013년부터 AI를 도쿄대에 보내는 ‘도로보 도코대 입학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수학자 아라이 노리코 교수. 3년만인 2016년 ‘도로보(AI)’는 수학에서는 상위 1% 성적을 기록했지만, 2019년까지도 도쿄대 입학 수준인 전 과목 상위 1% 성적 도달에는 실패하고 있다.

이유는 바로 문해력. 국어와 영어 과목에서 낙제점에 가까운 점수를 받았기 때문이다. 노리코 교수는 “AI는 문해력을 가지기 힘들기 때문에, 문해력은 인간이 차별화할 수 있는 영역”이라며, 현재 ‘도로보 프로젝트’와 함께 일본 중고등학생들의 문해력 향상을 위한 읽기 테스트(Reading Skill TEST)도 함께 병행하고 있다.

w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