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최대주주 국민연금 ESG 강조…금융권 ‘발등에 불’ 떨어졌다
글로벌 ‘큰손’들은 이미 적용
경영반영은 이제야 ‘걸음마’
의결권 행사시 지배구조 변수



최대주주인 국민연금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국내 대형 금융그룹들에도 비상이 걸렸다. 국민연금 뿐 아니라 글로벌 자본시장에서는 이미 금융회사들의 장기적인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인으로 ESG를 꼽고 있다.

8일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막대한 자금을 굴리는 노르웨이, 일본 등의 공적 기금이 ESG를 엄격히 따지고 있는 추세를 국민연금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분위기”라며 “금융회사 역시 결국 주식회사이기 때문에 대주주가 어디에 가중치를 두고 어떤 방향에 비중을 두고는 지가 경영 전략을 짜는데 상당한 영향력을 준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내 금융권의 ‘ESG 경영’은 아직 ‘걸음마 단계’라는 분석이다.

실제 국내 금융그룹 지주회사 가운데 처음으로 신한금융지주가 해외 시장에서 ‘ESG 채권’ 발행을 추진 중이다. 5억 달러 규모로 발행되는 이번 채권을 통해 조달된 자금은 기후 변화 등 환경 관련 사업 뿐만 아니라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한 투자금으로 쓰일 예정이다.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탄소 배출 저감 등 기후 변화와 관련된 금융서비스 제공보다는 미세먼지 관련 금융상품 출시 등 사업 영역이 국내에 국한된 수준이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스튜어드십코드센터 송민경 센터장은 “아직 국내 금융기관들의 ESG 수준은 걸음마 단계인 것이 사실”이라며 “금융 상장사의 대주주인 국민연금이 적극적인 역할을 못했던 것도 있고, 은행의 경우 채권 매입, 대출 등 본연의 사업에서 대상 기업의 ESG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는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국내 금융회사들의 ESG 평가를 높이기 위해 무엇보다 경영전략을 세우는 단계에서부터 ESG 요소가 자연스럽게 고려되는 지배구조를 만드는 것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사회의 의사결정 과정은 물론 임·직원들이 맡고 있는 업무에 ESG 요소가 필수항목으로 반영돼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ESG와 같은 비재무적 가치를 내부 업무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도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금융지주 고위 관계자는 “지속가능경영이라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주요 경영전략을 세울 때 ESG 요소가 녹아들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이 구축돼야 한다”며 “전 임직원이 시스템적으로 ESG를 반영한 근무가 가능하도록 조직의 체질 개선을 신속히 추진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승환 기자/nic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