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태평로 한은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개최하기 위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
금융시장, 장기금리 따라 출렁
수요측면 물가상승 압력 크지 않아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 한국은행은 18일 서울 태평로 한은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1.5%로 동결했다.
한은이 금리를 동결한 것은 소비와 수출이 양호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지만, 고용 등 일부 경제 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금통위 결정문에서도 “고용상황 등 취업자 수 증가규모가 소폭에 그치는 등 계속 부진한 모습”이라며 “국내경제의 성장 흐름은 지난 7월 전망경로를 다소 하회할 것”이라고 말했다. 즉 3분기까지 경제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한은이 지난 7월에 전망한 2.9%보다 낮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제성장 전망이 암울해 경제주체들의 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금리까지 올리기에는 부담스러웠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에 따라 IMF(국제통화기금) 등 국제기구들은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 성장률을 3%에서 2.8%로 낮췄다. 국내 민간 연구기관들도 올해 경제성장 전망치로 2.7~2.8%로 보고 있다.
경제 상황이 이러한데 한은까지 나서 금리를 인하하면 경제 심리를 더욱 ‘냉각’시킬 수 있다. 경기가 안 좋아지는데 금리를 올리면 유동성 감소에 따라 경기 하락을 더욱 부추길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금통위는 물가에 대해서는 다소 안심하는 모습이었다. 결정문은 “소비자물가는 농산물가격 상승세 확대, 전기요금 한시 인하 종료 등으로 오름세가 1%대 후반으로 높아졌다”라며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대 중후반에서 등락하고, 근원인플레이션율도 완만하게 상승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소비자물가 인상의 원인이 수요 확대에 따른 인상 압력에 따른 것이 아니라 올여름 폭염 등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봤다.
결정문은 “당분간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 상승압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정문은 또 “향후 성장과 물가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정도의 조정 여부를 판단해 나갈 것”이라며 ‘금리인상’ 깜빡이는 여전히 켜 놓았다.
한은이 금리인상 여지를 남겨둔 만큼 다음 달에는 금리인상이 유력하다는 게 한은 안팎의 분위기다. 일부 지역 부동산 시장 광풍과 이에 따른 가계빚 증가 등 저금리에 따른 금융불균형이 심각해 더이상 금리인상을 미루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내년에는 올해보다 경기 하락세가 심화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경기대응(금리인하)을 위한 ‘범퍼’ 마련 차원에서 올해 중으로 금리인상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2월에 금리를 한 번 더 인상하게 되면 한미 금리차는 1%포인트까지 벌어진다. 시장이 예상한 외국인 투자금 이탈 마지노선이 1%포인트인 만큼 한은이 이를 두고 보진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ㆍ미 금리 역전 폭이 확대되는 추세 속에서 국내 증시에서도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 흐름이보이고 있다”라며 “어느 때보다 금리인상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큰 만큼 내달에는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carrier@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