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헤럴드포럼-송재근 생명보험협회 전무]금리상승, 보험사에 독일까 약일까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연방기금 금리의 목표범위를 얼마전 1.75~2.0%로 인상했다. 또 금년에만 두 차례, 내년에도 최소한 두 차례는 인상될 것으로 보고 있다. 향후 미국의 고용이나 물가, 성장 등 경제여건에 따라 디르겠지만 현재 여건이라면 내년 하반기 미국 금리는 최소한 2.75~3.0% 수준까지 인상될 것으로 시장에서는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작년 11월에 결정한 기준금리 1.5%를 유지하고 있으나, 1.5%를 계속 유지하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미국 기준금리가 예상대로 올해 9월 0.25%p 인상되면 2.0~2.25%가 되어 격차가 0.5~0.75%p에 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험업계에 국제보험회계기준(IFRS17)이 시행되는 2021년이면 우리나라 기준금리도 최소한 미국 수준인 3%대까지는 올라갈 수밖에 없어 금리에 민감한 보험사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최근 금리 인상이 현실화되면서 보험사에 불리할 것이라는 부정적 분석과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사실 보유자산 중 채권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생보사 입장에서는 금리인상에 따른 보유채권의 평가손실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지급여력비율(RBC비율)이 하락하는 부정적 영향이 발생하게 된다. 232조원에 달하는 생보사의 매도가능증권(3월말 기준)에서 일정부분 평가손이 불가피하고 이로 인해 가용자본이 줄어들 수도 있다. 지난해 한국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6월말 기준으로 시장금리가 1.5%p 상승할 경우 보험업계는 약 20.7조원의 채권평가손실이 발생하고, 지급여력비율은 65%p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된 바 있다.

그러나 금리상승은 보험업계 입장에서 보면 이차역마진 개선, 보험료 인하 여건 조성과 같은 긍정적 효과가 훨씬 크다. 실제로 생보업계 책임준비금 587조원(3월말 현재)의 부담이율은 4.32%나 되는 반면 운용이익율은 3.55%에 불과해 0.77%p에 해당하는 연간 4조 5천억원의 역마진 손실을 감내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금리상승은 운용자산 이익률을 높여주게 되고, 따라서 이차역마진 해소에 크게 기여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보험소비자 입장에서도 금리인상은 공시이율의 상승을 가져와 중장기적으로 보험료가 인하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보험료가 싸지면 보험상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에 보험사의 영업실적이 좋아지는 호재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무엇보다도 2021년 도입을 앞두고 있는 IFRS17을 감안하면 보험업계로서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여건이 조성되는 것이다. 시장금리로 부채를 평가하는 IFRS17 제도하에서는 시장금리가 높을수록 부채증가부담을 크게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실제로 예금보험공사는 금년 5월 발간한 ‘금융리스크리뷰’에서 IFRS17 도입으로 인해 보험사들이 추가로 적립해야 하는 자금 규모를 41조 3,000억원으로 추정했다.

결론적으로, 시가평가기반의 IFRS17과 신지급여력제도라는 회계 및 건전성 제도의 대변혁을 앞두고 있는 보험업계 입장에서 최근 전개되고 있는 금리인상 기조는 독이 되기보다는 큰 약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