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8 평창] 윤성빈, 대한민국 국격을 높이다
[사진=연합뉴스]

[헤럴드경제=함영훈 선임기자] 악조건 속에서도 한국 피겨를 세계 정상권으로 끌어올린 김연아가 그 ‘악조건’을 숨긴 채 한국의 스포츠 인프라가 좋다고 전 세계에 자랑하면서 강원도 등과 함께 인고와 열정으로 일궈낸 ‘더반의 혁명’이 유럽 중심의 ‘스포츠 폴리틱스’를 허물었다면, 윤성빈은 빙상에 치우친 ‘반쪽 강국’ 대한민국의 동계스포츠 위상을 균형 있게 키웠다는 점에서 국격을 높인 것으로 평가된다.

윤성빈의 스켈레톤 금메달이 나오기 이전, 한국이 역대 동계올림픽에서 얻은 메달 55개(평창올림픽 2개 포함)는 모두 얼음판 위에서 나왔다.

빙상 아닌 종목에서는 단 한개의 메달도 나오지 않았다. 빙상, 설상, 썰매(크게는 설상으로 분류되기도 함) 등 3개 분야로 나뉘는 동계스포츠에서 한국은 절반 미만의 영역에서 세계를 호령했던 것이다.

한국이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린 동계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무려 70년 만에 처음으로 빙상 이외의 종목에서 얻은 메달이다.

‘아이언맨’ 윤성빈이 벌인 황금 질주는 한국을 균형잡힌 동계스포츠 강국으로 만들었던 것이다.

한국의 썰매 인프라는 평창 올림픽 유치 성공 이후에나 개선됐지, 그 전엔 ‘악조건’이었다.

면면히 내려오는 노하우도 없었기에 속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은 모두 개척자의 몫이었다.

스타트를 높이기 위해 엄청난 하체 근력운동을 한다. 근력이 두툼하되 탄력이 있어야 하기에 순발력 훈련도 매우 강도높게 진행됐다.
 
윤성빈의 하루 훈련량은 10시간. ‘노력하는 천재’이기에 어려운 조건 속에서, 전수된 노하우가 많지 않아도, 독보적 존재로 우뚝 선 것이다. 국제 스포츠인의 귀감이다.

스켈레톤 썰매의 가속력을 높이기 위해 공기저항을 줄이는 등의 기술을 적용한 맞춤형 헬멧도 제작됐다. 이 헬멧의 외양은 영화 ‘아이언맨’을 닮았다. 윤성빈이 좋아해서 힘 나게 하는 롤모델 같은 존재인데, 이는 윤성빈의 별명이 됐다.

유럽은 늘 아시아를 여러 부문에서 얕잡아 본다. 아시아인들은 태생적으로 유럽인에 뒤떨어진다는 인식이 강하다. 심지어 구석기(애슐리안)의 품질가 자기네가 우월하다고 했다가 한국 연천과 단양에서 더 좋은 품질의 구석기(양편 주목도끼)가 발견되자 슬그머니 우월감의 꼬리를 감췄다.

태평양 횡단을 유럽인이 14세기 무렵 최초로 했다고 주장하며 과학기술이 아시아인들보다 훨씬 뛰어나다고 주장했다가 동남아시아와 남아메리카 원주민이 2000년전 태평양을 횡단하며 교류했다는 기록이 고증으로 통해 입증되자 문명적 우월감을 일부 접었다.

100여년전 무력과 마약을 앞세워 동양을 지배했던 유럽인들이 21세기 마저 우월감을 가질 만한 근거는 이제 거의 없다.

동양인들의 우수성이 입증될수록 일부 유럽국가들은 국제정치적으로, 스포츠 폴리틱스로 자신들의 우월감을 더욱 강화시켜 나갔다. 대표적인 무대가 올림픽이었다. 자신들에게 유리한 종목을 늘리고, 개최지 배분을 유럽 중심으로 했다. 그러나 최근 10년동안 유럽중심의 올림픽 주도권은 서서히 아시아로 넘어가고 있다.

중국은 하계올림픽의 대권을 장악하고 서서히 동계로 그 파워를 옮아가려고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본도 그간 침체를 딛고 다양한 부문에서 유럽인들을 제압해 나가고 있다.

한국은 그들에게 가장 만만했지만, 하계 스포츠에서 글로벌 톱 5~9위에 지속적으로 오르고, 동계스포츠 마저 전체적으로 완성된 실력을 보이게 됨에 따라, 유럽인들이 함부로 얕보지 못하게 된 것이다.

올림픽은 2018 평창을 필두로, 2020 도쿄, 2022 베이징으로 동아시아가 장악했다.

토마스 바흐 IOC위원장이 말한 ‘이젠 아시아의 시대’라는 말을 윤성빈이 보란듯이 입증해 버렸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