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동시 추적 감시 대상 2배 증가…해안감시레이다-Ⅱ 2026년 배치
최대탐지거리, 분해능력 50~60% 향상
방위사업청은 10일 동시 탐지 추적 가능 표적 개수가 2배 향상된 해안감시레이다-Ⅱ체계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안감시레이다 운영 개념도.[방사청 제공]

[헤럴드경제=오상현 기자] 방위사업청은 10일 동시에 추적 가능한 표적의 개수가 2배 증가된 해안감시레이다-Ⅱ(GPS-240K) 체계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해안감시레이다-Ⅱ사업은 현재 군이 25년 이상 운용하고 있는 해안감시레이다를 대체할 목적으로 2022년 12월부터 업체주관연구개발(STX엔진)로 착수한 사업이다.

방사청은 “혹서기나 혹한기 시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장비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주요 시험평가 항목에서 기준보다 높은 성능이 확인됐다”며 “30개월이라는 짧은 연구개발 기간에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을 완료해 국방부로부터 지난 3일 최종 전투용 적합 판정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해안감시레이다-Ⅱ는 현재 운용중인 해안감시레이다와 비교해 탐지성능과 운용성 등 주요 성능이 대폭 향상됐다.

레이다 최대탐지거리와 표적을 분리·식별할 수 있는 분해능력은 50~60% 향상됐다.

작은 선박이나 보트까지도 먼 거리에서 탐지·추적할 수 있고 동시에 추적 가능한 표적의 개수는 2배 증가돼 군의 해안 경계능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해안감시레이다에 적용되는 전력 운영방식을 기존 진공관 방식(TWT)에서 반도체전력증폭방식(SSPA)으로 바꿔 높은 전력효율과 긴 수명을 보장해 운영·유지가 용이할 것이라는게 방사청의 설명이다.

방사청은 해안감시레이다-Ⅱ를 2025년부터 양산하고 2026년부터 순차적으로 노후 장비를 교체해 군에 배치할 계획이다.

윤창문 방사청 감시전자사업부장은 “향후 해안감시레이다-Ⅱ가 군에 전력화되면 해안경계 작전 능력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며 “세계에 수출되는 K-방산의 주요 무기체계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legend199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