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 6월 안보리 의장국 수임…이달 중순 北인권회의 개최
황준국 주유엔대사 “北인권은 안보와 연계”
“北 어떤 도발에도 대응해 회의 소집할 것”
조태열, ‘사이버 안보’ 공개토의 직접 주재
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가 지난달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주유엔 한국대표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6월 한국의 안보리 순회 의장국 수임 계획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우리나라가 6월 한 달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의장국을 수임한다. 회의를 소집.주재할 권한을 갖는 한국은 이달 중순 북한 인권 관련 회의를 소집하고, 북한의 대북제재를 위반한 도발을 단행할 시에도 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다.

황준국 주유엔대사는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보리 의장국 수임 관련 기자회견에서 “6월 중순에 북한 인권 관련 회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북한인권 안보리 브리핑 공식회의는 2014년~2017년간 매년 개최되다가 중단됐고, 지난해 8월 6년 만에 재개한 바 있다. 중국과 러시아 등 일부 국가가 인권 문제는 안보리 의제가 아니라고 주장했지만, 대다수 이사국의 지지로 회의가 열렸다.

그는 “안보리는 지난해 사전 의결 없는 공개토의를 진행했다”며 “회의 개최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 때문에 일부 반대의견을 억누를 수 있었다”고 말했다.

다른 국가들의 인권상황과 달리 북한의 인권 상황은 공식적인 안보리 의제라는 인식으로, 올해에도 회의를 열 수 있다는 것이다. 황 대사는 “북한의 인권 및 인도주의적 상황은 공격적인 대량살상무기(WMD) 및 핵 개발과 밀접히 연관돼 있다”면서 “북한의 인권 상황이 공식적인 안보리 의제로 다뤄지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엔본부에 따르면 안보리는 이날 오전 황 대사 주재로 비공식 협의를 열고 6월 안보리 의사일정을 담은 작업계획(Programme of work)을 채택했다. 오후에는 유엔 회원국을 대상으로 6월 작업계획을 설명했다.

황 대사는 “한반도의 안정은 우리의 핵심 이해관계 사안 중 하나”라며 “이런 관점에서 북한의 어떤 도발에도 대응해 회의를 소집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최근 북한과의 긴장 고조에 관한 질문에 황 대사는 “북한은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군사 정찰위성 발사 시험을 비롯해 쓰레기로 가득 찬 기이한 풍선을 보내는 등 최근 며칠 사이만 해도 주요한 도발 행위를 벌인 바 있다”며 “지난주 안보리 회의를 소집한 것을 포함, 북한의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보리 의장직은 이사국의 영문 국명(알파벳) 순으로 수임하며, 우리나라는 2024~2025년 임기 안보리 이사국 수임 중 두 차례 의장국을 수임하게 된다.

안보리 이사국은 안보리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할 의제를 설정하는데, 우리나라가 설정한 중점의제는 ▷사이버안보 ▷평화유지 및 평화구축 ▷여성·평화·안보 ▷기후와 안보이다.

안보리 이사국은 의장국 수임 기간 중 자국의 고위급이 주재하는 대표행사(signature event)를 개최하는데, 우리 정부는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안보리에서 ‘사이버공간 내 위협과 국제 평화 안보’를 주제로 직접 주재하는 공개토의(open debate)를 개최한다.

아울러 조 장관은 뉴욕 방문을 계기로 평화구축위원회(PBC) 회의에 참석해 인도지원-개발-평화의 연계 강화를 통한 분쟁 예방 및 평화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정부는 유엔 사무국의 요청으로 아동과 무력분쟁을 주제로 한 연례 공개토의를 개최한다. 이 공개토의에는 ‘디 엘더스’(The Elders)를 대표해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발표자로 참여한다.

아울러 안보리는 6월 중 수단, 소말리아,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시리아, 예멘, 이라크 등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 분쟁상황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