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25 APEC 정상회의…시진핑 방한·미중 정상회담 ‘대형 외교 이벤트’ [헤경이 만난 사람]
APEC에 빠지지 않고 참석해 온 시진핑 방한 가능성
美대선 결과에 따라 ‘G2 대좌’…푸틴 초청 여부 관심
경북 경주·인천·제주 3파전…이달 중순 개최도시 선정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코니센터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 단체사진촬영에서 각국 정상들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오른쪽부터 윤석열 대통령,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가브리엘 보리치 칠레 대통령,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세타 타위신 태국 총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디나 볼루아르테 페루 대통령,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연합]

[헤럴드경제(서귀포)=최은지 기자] 해마다 주요 정상이 참여하는 대형 국제회의로는 유엔총회, ASEAN(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 그리고 APEC(에이펙·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가 꼽힌다. 우리나라가 2025년도 APEC 의장국을 수임하게 되면서, 내년 한 해 동안 APEC 관련 회의만 약 200여회 열릴 예정이다.

APEC 회원국은 총 21개국으로, 동아시아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 등 12개국, 미주역은 미국, 캐나다, 멕시코, 페루, 칠레 등 5개국, 이외에 호주,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러시아이 참여한다. 2005년 부산 APEC 정상회의 당시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 고이즈미 일본 총리,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정상이 참석했다.

특히 APEC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빠지지 않고 참석하는 회의로도 꼽힌다. 지난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 주석이 정상회담을 하며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다. 미국이 지난해 시 주석을 초청하기 위해 각별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던 만큼, 전문가들은 의장국인 우리나라의 외교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정상 초청 등은 의장국이 주관하기 때문에 우리 정부가 푸틴 대통령을 초청할지 여부도 관심사다. 지난해 미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제재 대상인 푸틴 대통령을 초청하지 않았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달 17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세계 경제 관리의 재활(rehabilitation)과 WTO(세계무역기구), G20(주요 20개국), APEC 같은 다자 기구의 개혁·탈정치화를 선호한다”며 공개적으로 불만을 내비쳤다.

전세계적인 이목이 집중되는 대형 외교 이벤트가 펼쳐지는 만큼 APEC 개최지역도 관심사다. 2005년 APEC 정상회의를 개최했던 부산이 유치를 포기하면서 경북 경주시와 인천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가나다순)가 최종 개최도시 후보지역으로 선정됐다.

2조원이상의 경제효과, 2만여명 이상의 고용창출효과가 예상되는 만큼 각 지역 간 경쟁이 치열하다. 경주는 MICE(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 산업의 대표 도시라는 점을 강조하며 경쟁력을 내세우고 있다. 최근 국제컨벤션협회가 발표한 ‘2023년 세계 국가별·도시별 국제회의 개최 실적 순위’에서 국내 기초자치단체에서는 유일하게 순위에 진입했다.

인천광역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 허브’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만큼 최근접성이 강점이며, 송도컨벤시아, 영종도 복합리조트 등 대형 국제이벤트를 개최할 시설적 요건을 자랑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탄소중립 정책을 선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APEC의 지속 가능성과 포용성에 가장 부합하는 도시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유네스코 자연유산을 자랑하는 자연경관으로 한국을 알릴 수 있고 6차례의 정상회담 개최 경험을 토대로 한 국제회의 인프라 시설과 노하우를 갖췄다.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는 개최도시선정위원회를 통해 선정된다. 선정위원회 현장실사단은 지난달 20일~22일 간 세 도시를 방문해 회의 시설 및 숙소, 공항시설 및 교통, 경호 및 안전 여건 요소를 집중 점검했다.

이달 열리는 제3차 개최도시선정위원회에서는 각 후보도시 별 유치계획 설명회를 갖고 평과 과정을 종합해 상반기 내로 2025 APEC 정상회의 개최도시를 최종 결정한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2025 APEC 정상회의 준비기획단’ 현판식을 열고 본격적인 준비에 착수했다. 같은 달 31일에는 관계부처회의를 열고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22개 부처 주요 관계자들과 내년도 APEC 주제와 중점과제 구상, 분야별 장관회의 개최 계획 등을 협의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개최 도시가 선정되면 부문별 각료회의와 고위관료회의(SOM)를 위한 구체적인 준비와 회원국 경제인, 비즈니스 리더, 미디어 등을 맞이할 계획을 담은 마스터플랜을 수립할 것이라며 “생산적이고 의미 있는 2025 APEC을 위한 준비는 모든 관련 정부 기관을 아우르는 범정부적 노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