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북한 주민들 자녀 이름에 ‘통일·한국·하나’ 못 쓴다
통일부 ‘북한 동향’ 발표…“대남 흔적 지우기”
주민 대남 대적관 주입·반미연대 외교 정당화
한반도 형상화한 ‘고려항공’ 로고까지 교체해
북한 당국이 주민들에게 자녀 이름을 지을 때 ‘통일’, ‘한국’, ‘하나’ 등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는 30일 북한이 대남기구 개편과 각종 홈페이지 정리, 남북관계·통일 연상 용어 통제, 한반도 조형물 제거 등 대남 흔적 지우기를 지속 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평양 주민들이 최근 건설된 림흥거리에서 불꽃놀잇감을 즐기고 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 당국이 주민들에게 자녀 이름을 지을 때 ‘통일’, ‘한국’, ‘하나’ 등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연말 남북관계를 동족이 아닌 적대적 교전국 관계로 규정한 뒤 대남 흔적 지우기를 지속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통일부는 30일 북한이 대남기구 개편과 각종 홈페이지 정리, 남북관계·통일 연상 용어 통제, 한반도 조형물 제거 등 대남 흔적 지우기를 지속 중이라고 밝혔다.

노동당 통일전선부도 ‘당 중앙위 10국’으로 명칭을 바꾸고 기능을 재편했다.

지난 1월에는 ‘우리민족끼리’와 ‘메아리’를 비롯한 대외 선전매체를 폐쇄하고 ‘평양방송’과 ‘평양FM’ 등 대남방송을 중단하기도 했다.

대신 유튜브와 틱톡 등 뉴미디어를 활용해 북한의 조작된 이미지를 확산하는 우회 선전방식을 추진중이다.

같은 맥락에서 외무성 홈페이지의 “조선은 세 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해양국”이라고 표현한 ‘지리’ 메뉴를 삭제했고, ‘내나라’ 홈페이지의 “자주·평화통일·민족대단결의 원칙에서 조국통일을 실현하기 위해 투쟁”이라고 기술한 ‘사회주의헌법’ 배너도 비활성화시켰다.

이밖에 다른 홈페이지에서도 ‘평화통일’, ‘조국통일’, ‘민족대단결’, ‘북반부’ 등 남북관계와 연관된 단어가 포함된 과거의 글도 일괄 삭제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반도를 형상화한 ‘고려항공’ 로고 역시 교체됐다.

다만 ‘통일전선탑’은 존치시키고 ‘애국열사릉’ 내 ‘통일’ 문구는 남아 있는 등 대남 흔적 지우기가 체계적으로 정비되지 못한 모습도 식별됐다.

아울러 통일부는 북한이 남북관계를 적대적 교전국 관계로 규정한 뒤 주민들에게 대남 대적관 주입과 긴장 조성을 통해 체제결속에 주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국제정세 긴장의 원인을 미국과 서방국가에 전가하면서 중국과 러시아 중심의 반미·반제연대 외교 정당화에 공을 기울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지난 4월15일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태양절을 전후해 김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등 선대의 영향력을 축소하면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독자적 위상 강화를 도모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관련 태양절 용어 사용은 크게 줄었든 반면 ‘주체조선의 태양 김정은’ 표현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보도에서도 ‘김정은 혁명사상’을 부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 당국자는 “지속되는 경제난으로 주민들의 불만이 누적됨에 따라 사상통제를 강화해 민심이반 확산을 차단하는 동시에 외부 적대상황 부각을 통해 체제 결속에 주력하며 지도자로서의 권위를 살리려고 부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북한이 내달 하순 예고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는 전례에 비춰 상반기를 점검하고 당 조직문제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원회의 뒤 최고인민회의를 열 가능성도 있다.

이와 관련 통일부 당국자는 “전원회의에서 개헌을 비롯한 적대적 두 국가 관계 논의를 하고 최고인민회의 후 외무성을 통해 대남 조치를 발표하거나 경의선 단절을 더욱 뚜렷하게 보여주는 조치에 나설 수 있다”고 전망했다.

북한은 남북을 잇는 경의선·동해선 도로에 지뢰를 매설하고 가로등을 철거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