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군기훈련 사망 훈련병 사인은?…근육손상·심비대증·열사병 등 거론
근육 손상 횡문근융해증 유사 증상 보인 것으로 알려져
질병청, 해당 훈련병 올해 첫 열사병 추정 사망자 분류
군기훈련 도중 쓰러져 응급 후송됐지만 이틀 만에 숨진 육군 훈련병의 사인을 둘러싸고 근육손상·심비대증·열사병 등 다양한 관측이 제기된다. 사고가 발생한 강원 인제 육군부대 위병소에 군사경찰차량이 출입하는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군기훈련 도중 쓰러져 응급 후송됐지만 이틀 만에 숨진 육군 훈련병의 사인을 둘러싸고 다양한 관측이 제기된다.

우선 사망 훈련병은 무리한 운동이나 과도한 체온 상승 등으로 근육이 손상돼 사망에 이를 수 있는 횡문근융해증 의심 증상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군 소식통은 28일 부검 결과 횡문근융해증 관련 유사 증상을 일부 보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만 이 소식통은 “추가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하는 부분”이라며 사인을 단정 짓지는 않았다.

해당 훈련병이 횡문근융해증으로 사망한 것으로 결론지어진다면 무리한 군기훈련이 결정적 사인이 됐다는 비판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전날 부검에선 사망 훈련병의 심장이 조금 크다는 심비대증 소견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질병관리청은 해당 훈련병을 올해 첫 열사병 추정 사망자로 분류했다.

질병청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신고현황에 따르면 지난 23일 강원 인제에서 올해 첫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가 나왔는데 해당 훈련병이었다.

질병청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최근 언론을 통해 알려진 군기훈련 도중 사망한 훈련병이고 열사병 환자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이는 추정이라 바뀔 수 있다”면서 “질병청은 온열질환에 대한 주의를 환기하기 위해 응급실 의료진을 통해 온 결과를 바탕으로 통계를 보고할 뿐이지 정확한 사인을 알리는 것은 아니다”고 부연했다.

훈련병이 군기훈련 도중 쓰러진 지난 23일 오후 5시께 강원 인제 기온은 27.4도였다.

사망 훈련병은 당일 오후 5시20분께 강원 인제 육군부대에서 군기훈련을 받다 쓰러졌으며 민간병원으로 응급 후송돼 치료를 받았지만 상태가 악화돼 25일 끝내 숨지고 말았다.

군기훈련은 지휘관이 군기 확립을 위해 규정과 절차에 따라 장병에게 지시하는 체력단련과 정신수양 등을 말한다.

해당 훈련병은 완전군장으로 연병장을 구보로 돌고, 역시 완전군장으로 팔굽혀펴기도 지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군기훈련 규정에 따르면 완전군장으로는 걷기만 시킬 수 있고 구보 지시는 할 수 없으며, 팔굽혀펴기 역시 맨몸 상태로만 지시가 가능하다.

한편 군 당국은 군기훈련을 지시한 중대장과 함께 현장에 있었던 다른 감독 간부 등 2명에게 업무상과실치사와 직권남용가혹행위 등 혐의를 적용해 수사해달라는 취지로 경찰에 사건을 넘겼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