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방부 ‘국방의대’설립 추진…의료계와 충분한 논의할 것
장기복무 군의관 확보 차원…이르면 올해 안에 연구용역 발주
국방부가 장기군의관 확보 차원에서 국방의과대학 설립을 추진한다. 자료사진. 지난 3월 국군수도병원 소속 군의관이 민간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국방부 제공]

[헤럴드경제=오상현 기자] 국방부가 장기군의관 확보 차원에서 국방의과대학 설립을 추진한다.

국방부는 16일 “군 의료 체계 개선과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며 “장기군의관 확보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는 다양한 방안 중 하나로 국방의과대학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아직까지 검토 단계이며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국방부 관계자에 따르면 이르면 올해 안에 이와 관련한 연구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군의관 장기복무 지원자는 최근 10년간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군의관은 의무복무 기간이 3년인 단기와 10년 이상 복무하는 장기로 나뉜다.

장기 지원자는 2014년 4명, 2015년 2명, 2016년 3명, 2017년 2명, 2018년 1명, 2019년 3명, 2020년 0명, 2021·2022년 각 1명, 2023년 0명이었다.

그 결과 지난해 7월 기준 전체 군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군의관 2400여명 가운데 장기 군의관은 7.7%에 그쳤다.

장기 군의관 부족은 군 의료진의 숙련도 저하로 이어진다.

국방부는 장기 복무 지원자 확대를 위해 복무기간 유연화, 임금 인상 등의 방안을 추진해왔지만 한계가 있다고 보고 안정적 수급을 위해 의대 설립을 추진 중인 것으로 풀이된다.

국방의대가 설립되면 군 의료 수준 향상뿐 아니라 공공의료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국방부는 보고 있다.

국방부는 2011년 국방의학원 설립을 통한 장기 군의관 배출이 논의되다가 의료계 반발로 무산된 이력이 있는 만큼 이번에는 의료계, 유관 기관, 국회 등과 충분한 논의를 거친다는 입장이다.

legend1998@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